전북지역의 인구붕괴 현상이 갈수록 가속화 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탈전북·결혼기피 현상이 심해져 도내 인구 붕괴가 현실화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전북지역의 출생아수는 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00명)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15년 8월 이후 21개월째 계속된 감소로 5월 기준 지난해 대비 13.6%나 감소한 수치다. 반면 도내 5월 사망자수는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8.3% 증가한 1천200명으로 출생아 수를 넘어섰다. 또한 혼인 건수 역시 5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는 동일하지만 여전히 전년누계대비 2.8% 감소했다.
 전북의 인구 고령화 현상, 젊은 층의 다른 지역으로의 이탈, 결혼기피 등으로 인해 출생아는 줄고 사망자는 느는 악순환은 반복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6월까지 전북에서 다른 지역으로 떠난 순이동자 수는 1천808명으로 집계됐다. 은퇴자들의 전입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20~30대의 유출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주와 군산, 완주군을 제외한 도내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7년 6월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도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완주군으로 2008년 8만3757명에서 2017년 6월에는 14.7%가 증가한 9만6030명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군산시가 4.6%, 전주시는 3.2% 각각 증가했다. 하지만 그 외 김제시(-8.8%), 부안군(-7.4%), 정읍시(-6.9%) 등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는 지난 10년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와 군산, 완주 등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혁신도시와 기업유치 수혜지역은 괜찮은 일자리 창출이 인구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그 외 지역들은 젊은 세대의 전출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어 인구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들은 젊은층의 전출방지를 위한 일자리 창출 등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청년지원정책과 사회적 여건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보고서를 통해 전주, 군산, 익산, 완주를 제외한 도내 10개 시·군이 인구 붕괴로 30년 안에 소멸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김제, 남원, 정읍 등은 국내에서 대표적인‘인구축소도시’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몇몇 마을은 20여 년 안에 없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양승수기자·ssyang0117@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