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전북경제, 돌파구 찾아야
각종 경제지표에서 나타난 전북의 기초경제력이 전국평균이하의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미래에 대한 희망이나 가능성조차 논하기 힘든 암운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국가는 국민 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며 요란하게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적지 않은 도민들은 미래의 희망보다 당장의 생계가 더 걱정이다.
지난 28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3만달러 시대 호남의 자화상편’에 나타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1인당 평균부채는 3억882만원으로 3년 사이 25%가 늘었다. 전국 평균증가율 13.4%의 두 배에 달하는 금액으로 1인당 평균자산이 2억3527만원으로 9개 도 중 전남 다음으로 적은 것을 감안할 때 심각한 불균형이 아닐 수 없다. 평균부채를 평균자산과 비교한다는 게 무리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전반적인 지역경제 흐름을 수치로 분석한 결과란 점에서 분명 유의미한 결과임을 부인할 순 없다.
여기에 전북 지역총생산의 전국비중 역시 3.0%에 불과한 44조원으로 제주, 강원에 이은 꼴찌에서 3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지역경제규모 자체가 적다 보니 경제활동 역시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고용악화와 소비감소, 가계부채 증가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전북도 출산율이 1.35명으로 경기, 강원에 이어 전국 3번째로 낮은 결과 역시 이와 무관치 않다. 개인 총소득이 2천230만원으로 전국평균 보다 725만원이 적은 상황에서 출산을 장려한다는 것 자체가 전북에선 무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구나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이미 진입한 전북은 이제 1인당 조세부담 증가를 고민해야할 상황 까지 맞이하게 됐다. 지난해 말 전북의 노년 부양비율이 27.3명으로 전국평균 17.9명보다 무려 9.4명이 많다. 지역경제력은 바닥인데 세금만 늘어나게 된다면 이는 결국 지역 경쟁력 약화를 필연적으로 가져올 수밖에 없다. 간단히 ‘전북의 미래는 참으로 어둡다’로 요약되는 대목이다.
지역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묘수를 찾아야 한다. 도민 소득을 높일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각별한 관심을 쏟아야 한다.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마스터플랜도 필요하다. 수도 없는 지적에 바뀌지 않는 ‘예전 그대로의 정책지속’에 지금 전북이 병들어 가고 있다. 지금 서둘지 않으면 나중엔 약도 없게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