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모든 통계의 근간이 되고 있는 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정기적인 조사 결과에서도 관련 기관과의 수치와 크게 차이가 나  전면 개선이 요구된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에 따르면 통계청이 매 분기별 발표하는 가축동향조사 결과와 농림축산부가 발표하는 쇠고기이력제중에 나타나는 한우수치가 크게 차이난다. 가축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한우, 육우, 젖소의 성별 및 마리수를 조사하는데 양 기관이 발표한 한우 신고마릿수 차이가 ‘15년 1분기 22만4,503두, 2분기 22만6,299두, 3분기 16만3,591두, 4분기 17만8,001두였던 수치는 올해 급등해 1분기 23만1,448두, 2분기 23만7,428두를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19만8,099두, 올 상반기에만 평균 23만4,438두의 차이가 났다. 한우 신고마릿수 통계수치는 축산농가의 수급조절과 생산기반 구축 등 한우산업정책을 마련하는 근거가 된다. 육류는 보관기관이 짧아 정확한 개체수 정보를 바탕으로 도축계획이 세워지며, 암소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마릿수를 전망하는데 중요 자료라고 한다. 이처럼 통계수치가 차이 나면서 농가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고 심지어는 통계청 조사방식이 너무 오래됐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은 지난 1974년 가축동향조사 실시 이후 단 한번도 조사방식을 바꾸지 않았고, 표본설계도 지난 2005년 실시된 농업총조사를 바탕으로 구축돼 실제 가축현황의 정확한 통계예측이 우려된다는 것. 가축동향조사축종은 한우, 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이며 전국 3,068개 표본조사구와 시도별·축종별 일정 규모이상의 가축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자료수집 방법은 면접청취조사와 전화 등 비면접조사를 혼용한다. 그러나 농림부가 실시하는 소고기이력제는 소와 쇠고기의 생산·도축·포장처리·유통과정의 각 거래 단계별 정보를 기록·관리한다. 문제 발생시 이동경로를 추적해 신속한 원인규명과 회수 등 조치를 가능케 하고 판매시 이력정보도 제공한다. 농가가 소를 출하하려면 이력정보를 전산시스템에 반드시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실제 현황을 반영한 것이다. 일부 축산업자들이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대신 쇠고기이력제에 등록된 정보를 근거로 수급관측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 대목이다. 통계청은 불분명한 통계수치로 인한 피해가 고스란히 축산농가에 돌아간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신속히 수치 차이 발생 이유를 파악해 국민에게 신뢰도 높은 통계결과를 내놓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