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떠나는 기업 없어야 살 수 있다
기업유치를 통한 지역일자리창출사업의 실질적인 효과가 의문시 되는 통계가 나왔다. 그동안 전북에서 기업 활동을 해오다 최근 3년 동안 전북을 떠나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으로 기반을 옮긴 기업만 290개에 달했던 사실이 국회 박준영의원의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83개였고 지난해에는 124개 기업이 수도권으로 근거지를 이전했다. 물론 3년 동안 수도권에서 전북으로 이전해온 기업이 2013년 122개, 2014년 146개, 그리고 지난해엔 186개 등으로 총 454개 기업이 이전을 해와 전체적인 기업수가 늘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전북을 등지는 기업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현실은 외지 기업유치활동의 성과를 크게 반감시키는 악재가 분명하단 점에서 문제가 된다. 국세와 지방세 감면혜택을 주고 지자체 차원의 보조금까지 지급해가며 기업들을 끌어오고 있지만 여전한 각종 행정규제와 인력수급의 어려움 등이 이들을 다시 외지로 내몰고 있기 때문이다. 
이윤의 극대화를 최대 목표로 하는 기업들이 기존의 본사나 생산기지를 철수하고 타지에 새롭게 둥지를 트는 결정을 내리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런데 기업들은 이런 결정을 내렸고 한두 가지가 아닌 이전 요인 중 가장 눈에 띠는 대목이 폐쇄적인 행정규제, 필요인력의 적재적소 공급 어려움 등으로 요약되고 있으니 결국 그동안 지자체 들은 앞에서 남고 뒤로 손해를 보는 상황만을 되풀이 해온 것에 다름 아니다. 지자체 기업유치, 유지전략의 대대적인 보완과 수정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충청권과 영남권 기업들 역시 건설, 제조, 도매, 서비스업 순으로 본사를 수도권으로 옮기는 ‘탈 지방’ 기류가 본격화 되고 있음을 들어 전북의 현상을 당연시해선 더더욱 안 된다. 수도권규제완화가 현실이 되는 상황에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기업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분류되는 전북의 위기 순간은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자만하며 두 손을 놓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열악한 사회간접자본시설, 정부의 관심부족 탓 만해선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그래도 오는 기업이 많다고 안위하는 순간 나가는 기업이 더 많아질 수 있음에 긴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