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사습놀이 변화를 기대한다

지난해부터 조직위원회를 구성하고 대통령상인 판소리 명창 장원의 상금을 2배로 늘리며 주목을 받았던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가 심사 공정성을 둘러싼 구설수에 휩싸여 있다. ‘상’을 걸고 돈이 오갔다는 문제 제기와 함께 폐쇄적인 대사습보존회 운영을 개선해야한다는 요구도 잇따르고 있다. 전주의 자랑이던 대사습놀이가 이렇게 추락한 사실에 대해 문화예술인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어처구니가 없다’거나 ‘터질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 많다는 것이 그 증거다.
일부 국악인들은 그동안 여러 경연대회에서 심심치 않게 심사 비리가 있었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다. 취재 과정에서 더 많은 내용을 알고 있던 국악인으로부터 또 다른 사실을 확인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추가 제보도 이어져 국악 경연의 문제를 깊숙하게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몇 년 전 국내 모국악대전에서는 판소리 경연 참가자가 심사를 둘러싼 비리를 폭로하는 사례가 있었다. 당시 경연에 출전했던 A씨는 사설도 빼먹고 장단도 틀린 참가자가 예선을 통과했다고 폭로하면서 국악계가 떠들썩했었다. 만약 이때 이러한 추문에 대해 적극적인 사실관계 확인과 개선 노력이 이어졌다면 대사습의 명예는 오늘처럼 떨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개선 노력 대신 그 사실을 폭로한 사람이 오히려 국악계에서 외면당했다는 기막힌 소식이 들려온다.
잘못을 개선하는 노력이 더딘 이유로 국악계의 보수성이 꼽힌다. 도제식 교육을 통해 내려오는 관계는 쉽게 외면할 수 없다. 서로 너무 잘 아는 사람들로 다른 이의 잘못을 지적하는데 자유롭지 못하고 설령 문제를 제기해도 개선하기엔 관행의 벽이 너무 두텁다. 보존회 또한 젊은 국악인 참여할 통로가 적다는 지적도 많다. “이사들이 판소리에 치우쳐 있고 연령대도 높다”며 단체의 건강성을 우려하는 국악계 목소리에 주목해야할 이유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시비를 지원하고 있는 전주시가 대사습놀이 개선에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심사 공정성을 위해 청중 심사단을 도입하고 뇌물 연루자를 심사에서 원천 봉쇄하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가장 좋은 방안은 대사습 자체적으로 환골탈태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체 자정이 더디다면 외부의 적절한 개입은 필요하다. 이번 위기가 전주대사습놀이 발전의 획기적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