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을 등지는 젊은이들을 붙잡기 위한 지역차원의 청년정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낮은 취업률에 비정규직만 양산하는 지금의 전북지역 고용시장의 흐름이 지속되는 한 ‘2030’경제활동 인구의 역외유출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 23일 도와 전북경제통상진흥원등이 공동 개최한 청년정책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예외 없이 청년정책 활성화의 뿌리내림이 시급하다면서 지금 대로라면 지역의 경제 침체 따른 경쟁력 약화는 물론 결국  성장 동력 자체를 잃게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업문제가 전북의 문제만은 아니다. 청년고용 절벽 해소는 국가적 차원의 과제가 되고 있기도 하다. 일자리가 없어 연애와 결혼, 출산은 물론이고 내집 마련과 인간관계까지 포기한 ‘오포세대’가 급증하고 있는게 우리 현실이다.

청년세대의 고통을 서울과 지방으로 나눠 전북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더욱 참담해 진다.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14년동안 전국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는 13%가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전북에선 두 배인 26%가 줄었다. 특히 20대 후반 경제활동인구가 64%, 그리고 30대 초반은 무려 74%나 급감한 전북의 현실에서 미래의 전북을 그리는 건 욕심이 아닐 수 없다. 암울한 전북의 현실을 미래세대에게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떠나기를 결심한 이들이 다시 전북을 찾을 리는 만무하기에 더욱 그렇다.     

청년고용활성화, 비정규직 고용개선, 임금체계개선, 사회안전망확충 등 나름의 고용확대와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곤 하지만 당장의 일자리가 급한 청년들에게 입장에선 크게 와 닿지 않은게 현실이다. 일자리가 하루아침에 만들어 지는 게 아님을 모르는바 아니지만 그만큼 마음이 급하단 것이다. 

중장기 고용활성화 대책은 물론이고 현재 닥친 고용절벽을 신속하게 타게, 고용숨통을 열어주는 작업을 지금 서둘러야 한다. 고용창출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맞춤형인재 육성은 제대로 돼있는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대책마련에 문제는 없는지 좀 더 꼼꼼하고 체계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대책에만 의존하지 말고 지자체 차원의 고용확대와 안정화 정책은 무엇이 있는지 점검, 보다 능동적이고 선도적으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10년 후가 더욱 암담한 전북의 지금 아닌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