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 제조업체들이 좀처럼 영세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제조업체와 종사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종사자 50명 미만의 영세한 중소기업이 도내 전체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취약성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전북도가 내놓은 ‘2015 제조업체 총 조사’에 따르면 도내 제조업체 수는 4890개로 전년대비 10.5%인 465나 늘어났다. 종사자 수 역시 전년보다 2018명이 늘어난 10만6771명으로 집계됐다. 전반적인 경기위축의 상황에서도 제조업창업 열기는 식지 않았던 셈이다.

하지만 증가 규모에 있어선 종사자 1~4인 규모의 초영세업체가 1년 사이 506개나 늘어난 1734개 업체에 달했다. 5인이상의 업체는 오히려 줄었지만 최소규모의 영세창업이 증가하면서 도내 전체제조업의 평균증가율을 끌어올렸던 것이다. 그나마 대부분 업체는 산업단지가 소재한 전주·완주와 익산, 군산, 김제 지역에 전체의 66.2%가 몰렸고 종사자 역시 이들 지역에 75.4%가 근무하고 있다. 일부에선 지역경제 활성화를 결정적으로 좌우할 중견,대기업들의 이전이나 고용효과는 거의 미미한 수준이었던 반면 생계차원 제조업 창업만이 러시를 이뤘단 점에서 오히려 경기침체가 가속화될 경우 자칫 이들 영세 창업제조업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더욱이 도내 중소기업들의 영세성은 경쟁력 약화와 직결되면서 정부 지원에서도 외면을 받는 상태다. 정부가 특정분야에서 성장잠재력과 혁신성을 지닌 중소·중견기업을 발굴해 육성하는 각종 사업에 도내 기업이 선정된 경우는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지난 상반기 발표된 ‘월드클래스 300 및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30개사중 전북지역에서는 단 1개 기업만이 선정되는데 그쳤다. 최근 5년동안 통계에서도 전체 183개 기업중 전북의 기업은 3개였다. 

물론 수도권 기업이 절대적으로 많은데 기인한게 이유가 될 순 있다. 하지만 선정 기준 자체에 들지 못하는 도내 기업들이 대부분인게 가장 큰 원인인 현실을 부인해선 안된다. 호남 홀대론이나 고른 배분을 주장하기 전에 스스로 경쟁력을 갖춘 중견제조업의 육성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 육성정책에 맞춘 기업 지원 사업 확대는 물론 지역 특성을 살린 고유 제조업체의 발굴육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