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의 국가기념일 제정을 둘러싸고 관련 단체와 자치단체 간 이견을 보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자치단체 간 다툼으로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자 결국 문화체육관광부가 기념일 제정을 위한 의견 수렴에 나섰지만 기념공원 조성 등 동학농민혁명과 관련해 산적한 과제 해결을 위해선 기념일 제정부터 선결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전북도 및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 논의는 지난 2004년 3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됨에 따라 동학혁명이 일어난 지 11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제정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12년이 지난 현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전주시, 정읍시, 고창군, 부안군, 충남 논산군의 의견이 달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전주화약(全州和約)일·6월 11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정읍시는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대승을 거둔 ‘황토현 전승일·5월 11일’을 주장하고 있다.

전주화약일은 지난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유족회와 천도교, 학계 등으로 추진위를 결성해 의견을 모은 날로 관련 단체 30개 가운데 26개가 찬성했고 3개 단체만 반대했다.

관련 광역·기초 지자체 33곳도 29곳이 의견 없음, 3곳 반대, 1곳 찬성을 보였다. 찬성은 전주시, 반대는 정읍·고창·부안 등이었다.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은 2004년 당시 30여개 동학 관련 단체와 유족회 등이 참여해 고창 무장 기포일(4월 25일)로 의견이 압축됐지만 48년 동안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을 펼친 정읍시 반대로 기념일 제정에 실패했다.

이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2008년까지 여러 차례 기념일 제정을 논의했으나 현재까지도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며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 12일까지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는 물론 각 지자체와 지역 동학 관련 단체 등에 국가기념일 제정일 놓고 의견을 취합한 상태지만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동학에 정통한 도내 문화계 관계자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뿐만 아니라 기념공원 조성, 동학농민군 지도자 안장 등 해결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지만 지자체 간 다툼으로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면서 동학정신을 계승하겠다는 의미가 점점 퇴색되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