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이 지지부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산물 시장개방에 맞서 경쟁력 있는 미래 대안농업으로 친환경 농업이 제시되면서 지속적인 육성을 위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투자와 유통지원체계 구축이 미비해 인증농가들이 친환경 농업을 줄줄이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친환경 농산물 인증 농가는 6018농가, 해당 면적은 7180㏊로 전국 친환경농산물 재배 면적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2013년) 7476농가의 8667㏊보다 농가 수는 1458농가, 인증 면적은 1487㏊나 감소한 수치다.

특히 도가 친환경 농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던 2009년(1만2563ha·1만1937농가)에 비해서는 무려 5383㏊, 5919농가가 각각 감소하며 반토막 났다.

이처럼 전북의 친환경 농업이 흔들리는 데는 도의 투자가 제대로 뒷받침이 안 되고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유통지원체계 구축이 미비한 데 따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는 친환경농업의 지속적인 확대 육성을 위해 지난 2011년 ‘친환경농업 5개년 실천계획(2011~2015년)’에 따라 지난해까지 486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그 절반인 2531억원을 투자해 그 계획이 ‘공수표’에 그치고 있다.

때문에 당시 올해까지 친환경 인증면적을 경지면적의 10%에 해당하는 2만ha를 목표로 정했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실현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농업법인과 작목반 등 규모화를 통해 대형유통매장과 학교급식 등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있는 일부 농가를 제외하면 다품종을 소량 생산하는 영세농가는 판로가 불안정해 친환경농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 구조 마련이 시급하다.

일각에서는 저농약인증제 폐지와 인증관리 강화 등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인 것으로 분석하고도 있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지난 2010년 이후 친환경농산물 시장 규모 역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 및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긴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내 농업정책 한 전문가는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에 의하면 올해 이후 친환경 농업의 시장규모가 감소추세를 지속하다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2017년 이후부터는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수요창출과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전북도 차원의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