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자역과학의 비약적 발전과 더불어 인간에게 편리한 도구로 인해 세상은 그 어느 때보다 풍요롭고 아름다워졌다. 인간이 발명한 도구 중 가장 밀접한 것은 자동차라는 점에서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자동차라는 도구가 인명살상과 천문학적 사회적 비용을 가져오는 문제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한국형 교통문화의 현실을 어떠한가 되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2012년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는 2260만2098대(운전면허 2826만3317명)로 2012년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보면 22만3656건이 발생해 5392명이 사망하고 34만4565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2011년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2.4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치인 1.2명에 비해 여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2012년 경찰백서 참조) 한 연구소의 추정에 의하면 교통사고 인한 사회적 비용은 우리나라 전체 GDP의 1%가 넘는 것으로 추계하고 있다.
이렇듯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인명손실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첫째, 교통질서는 일종의 규칙이다. 교차로에서는 어떻게 진행해야 하고, 진로변경 시에는 방향지시등을 켜야 하고, 우천시 운전할 때는 속도를 감속해야 한다는 등.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운전자들은 교통으로 인해 불편을 느낄 때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이 교통법규를 준수하지 않아 본인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하면 로맨스. 남이하면 스캔들. 하지만 교통안전의 출발점은 자기 자신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나로부터의 반성과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둘째, 대한민국 교통문화의 현실은 자동차가 주인공이다. 보행자를 위한 배려가 없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의하면, 2012년 50,111건 발생(사망자 1,977명), 2011년 49,701건 발생(사망자 1,998명), 2010년 49,353건 발생(사망자 2010명)으로 발생건수 및 사망자 비율에서 보행자 사고는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향후 대한민국의 교통문화에 대한 초점은 보행자사고를 어떻게 하면 줄일 것 인가하는 논의에서 출발해야 한다.

교통문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뼈를 깎는 경찰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경찰의 단속만으로는 도로의 무질서가 바로 설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정부, 시민, 경찰 그리고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들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다음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배려하는 교통문화, 내가 먼저 준수하는 교통문화, 어린이 노약자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교통문화가 기대하는 마음에서 한국형 교통문화에 대한 자기반성이 필요하다.

<고속도로순찰대 12지구대 박희양 경위>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