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농산물 가격 폭등과 폭락 현상이 반복적으로 되풀이 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농산물 수급 조절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아 애꿎은 농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불과 수개월 전 1만원 가까이 하던 배추가격이 1000원대로 추락했지만 앞으로도 가격은 더 내릴 태세여서 농민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24일 도내 농민들에 따르면 배추 가격을 비롯한 농산물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거나 급등하는 경우가 많아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
최근 배추의 경우는 불과 1년 전 가격보다 80% 이상 떨어지는 등 가격이 ‘널뛰기’ 하고 있다. 실제 도내 도매상 배추가격은 현재 포기당 500원선. 1년 전 배추 파동 당시 도매가격인 4000원 선에 비하면 폭락한 수준이다. 오는 5~6월에 출하되는 노지 배추가 본격 출하되기 시작하면 지난해 금값이던 배추가격이 올해는 생산비도 충당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등 관계기관에서 내놓은 배추수급조절 대책은 농협을 통한 계약재배 확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대책에 대해 농민들은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농민들은 좀 더 농민들에게 맞는 실질적이고 활용이 용이한 대책이나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내 배추재배 농민 A씨는 ”폭등일 때는 수입산을 푸는 등 물가안정대책도 내놓지만 폭락일 때는 오히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것 아니냐”며 “대안으로 내놓은 것은 계약 재배밖에 없는데 안정적이긴 하지만 이윤을 남겨야 하기 때문에 외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농민 B씨 역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한 번 가격이 폭락하면 2~3년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바로 생활과 직결되기 때문에 이윤을 따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다른 대책 없이 계약 재배만 권한다면 아무래도 망설여지는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지자체에서 체계적인 농산물 수급조절시스템 등의 수급 및 가격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농산물 유통 구조는 한 해 가격이 높으면 이듬해 가격이 폭락하고, 그 다음해는 다시 배추 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현저히 줄어들어 가격이 상승된다. 이 같이 수급 조절이 되지 않으면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때문에 각 지자체의 농업기술센터나 농협 등을 통해 재배물량을 통제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부서도 실질적인 수급조절시스템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그나마 농협이 계약재배를 권유하고 있지만 이조차도 가격하락으로 농민들이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박세린기자 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