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통합대상 중 광역권 포함 지역 빼면 최대 규모
-1도1본부 지켜줘야, 대상지역 중 지방은행 소재 유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 중단에 따른 예속화 논란이 지역사회 전반을 강타하고 있다.<관련기사 6면>
도내 금융권과 경제계는 물론 정치·사회단체까지 나서서 한은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광역권 통합안에 강력 반발하며, 철회 요구에 나서고 있다. 이는 잇단 공공기관 등의 예속화로 인한 정서적 박탈감과 소외감, 경제적 타격과 함께 화폐업무와 관련한 전북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통합대상 중 왜 유독 전북지역만의 반발이 거센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지는 왜 한은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가 중단돼선 안되며, 최소한 '1도1본부' 체제가 지켜져야 하는 지에 대해 심도깊게 다뤄보고자 한다./편집자 주

▲무시할 수 없는 화폐수급규모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내년 2월 화폐수급 통합대상은 도내를 포함해 모두 9개 지역이다. 한은은 전체 지방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한다는 차원에서 현재 17개의 본부 중 서울본부 및 강남, 5개 대형지역본부, 제주를 제외하고 전북을 비롯 목포, 충북, 경남, 강원, 강릉, 인천, 울산, 포항 등을 내년도 통합대상으로 정했다.
하지만 도내 화폐수급규모가 이들 대상 지역 중 사실상 가장 높은 수준에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지가 한국은행의 ‘2010년 중 지역별 화폐수급 현황<표 참조>’을 비교·분석한 결과, 전북본부의 화폐발행액(1조2,673억원)과 환수(1조427억원)액을 합한 수급 총액은 2조3100억원으로 서울지역을 제외한 전국 비중이 5.7% 로 집계됐다. 이는 통합대상지역 중 인천(9.7%)과 경남(8.2%)에 이어 높은 수치이자 3%대 초반의 지역경제 비중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반면 나머지 6개 지역의 전국 비중은 1~3%대에 머물고 있다. 또 전북보다 화폐수급액이 많은 인천과 경남의 경우 각각 서울·경기권과 부산권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지만 전북본부는 그렇지 않다. 충북(3.2%)과 강원(1.8%)·강릉(3.2%) 의 경우 광역권은 아니지만, 수급비율에서 도내와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외톨이 신세 '전북은행'
이번 개편안과 관련 타지역에 비해 도내 반발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지방은행이 소재하고 있는 사실상 유일한 지역이나 다름없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지방은행은 전북은행을 포함해 부산·대구·광주·경남·제주은행 등 6곳이다. 이들 은행 중 이번 통합안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곳이 바로 전북은행이다. 지리적 특성상 제주은행은 제외됐고, 나머지 3곳은 광역본부를 두고 있으며, 경남은행 역시 독립은행인 전북은행과는 다르게 우리은행 계열이고, 부산광역권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들 중 전북은행만이 대전이나 광주로 관할권이 다른 지역에서 화폐를 주고받는 불편과 비용을 감수해야만 하는 '외톨이 신세'가 된 셈이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자산규모가 작은 전북은행의 '체감손실'은 '실질적 비용 부담' 이상으로 클 수 밖에 없다.
전북은행과 함께 지역금융의 한 축을 차지하는 전북농협과 나머지 시중은행 지점 역시 가까운 지역본부가 아닌 대전 등의 장거리 화폐현수송에 따른 비용발생과 사고위험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내 금융권 관계자는 “전북본부의 조직 축소여부는 화폐수급규모와 지방은행 소재지, 1도1본부 차원 등을 감안해 타지역과는 좀 더 다른 잣대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경제 비중이 작다는 이유로 중앙은행의 업무마저 축소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획일적 조직개편으로 반발을 살 수 밖에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갈수록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화폐수급업무를 광역화 한다고 해서 지역본부 기능이 결코 축소되거나 지역금융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며 “또 이 통합안은 올해 지역 금융기관과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야 하는 사안으로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김은숙 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