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인구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재투자 수요 등 물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Forture)은 ‘20세기의 블랙골드인 석유산업 만큼이나 21세기에는 물산업이 블루골드로 고성장할 것’이라고 관측했으며 2009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이제는 석유파동이 아닌 물파동에 대비해야 한다’고 물 산업 시장을 내다봤다.
전북도는 물 산업의 고성장에 대비해 세계 시장 선점 차원에서 스마트 워터 그리드개발 사업을 통해 새만금 권역에 IT(정보기술)를 접목한 실증단지인 분산형 물처리 시스템(스마트 워터 콤플렉스)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꿈틀거리는 세계 물산업 시장 = 인구증가와 도시화는 물 수요 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을 심화시키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물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실제 유엔(UM)은 향후 20년 후에는 물 공급량이 현재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로 인해 오는 2025년쯤에는 세계 물 시장 규모가 1조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전망 속에 국내 물 산업 규모는 지난 2007년 현재 12조6000억원으로 세계 8위이며 세계 시장 점유율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상하수도는 건설시대에서 유지관리시대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속 성장을 위해 해외시장에 진출하거나 개척 중에 있다.
그러나 물 산업의 해외 진출은 시공 및 건설 분야에 집중되고 있어 해외에서 요구하는 토털 서비스 제공은 미흡하다는 분석이다. 지난 2007년부터 3년 동안 시설 및 건설 분야는 계약액 기준으로 88.5%인 반면 운영·관리 진출실적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물 산업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한국형 물산업 모델 정립과 협력경영 매커니즘 구축, 정부 및 금융지원, R&D(연구개발) 추진 등 복합적인 한국형 물 산업 육성전략이 요구된다.
▲ ‘스마트 워터 콤플레스’ 세계시장 도전(?) = 도는 지난해 삼성경제연구소(SERI)를 통해 녹색성장을 선도할 핵심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워터 그리드’사업을 발굴했다. 이 사업을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산업단지 내 9만3000㎡ 부지에 총사업비 1100억원을 투입, 스마트 워터 공통 플랫폼 운영체계 구축, 콤플렉스 및 실증화단지 조성, 통합운영센터 건설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
특히 핵심사업인 스마트 워터 콤플렉스는 수자원의 다변화와 수도관망, 하수처리설비의 지능형 관리를 통해 기후변화 및 산업화에 따른 물 부족을 대비하는 미래형 상하수도 시스템으로 향후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도는 이처럼 IT를 접목한 지혜로운 물 관리와 활용을 통해 물의 순환율을 높이고 외부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시설의 설치와 운영 네트워킹을 통한 균형과 조화, 다중지능 물 관련 기술 적용 등을 기본방향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내 물 자급율 100%에 도전키로 했다.
이러한 스마트 워터 콤플렉스를 통한 선점효과는 새만금·군산경제자역 산업단지 전지역에 적용하고 전국 산업단지 공업용수 방안으로 확산시키는 등 국내로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도 병행 추진하겠다는 복안이다.
▲ 향후 풀어야할 과제 = 하지만 스마트 워터 콤플렉스를 포함한 스마트 워트 그리드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수반돼야 가능하다.
더구나 이 사업은 환경부 내 물산업지원팀이 구성될 당시 긍정적 사업으로 평가받은 바 있지만 해당 팀이 해체되면서 추진 체계가 없어지고 의지 역시도 사라진 분위기다. 이 때문에 도는 새로운 파트너로 국토해양부와 손을 잡고 추진에 나설 계획이지만 향후 성사 여부는 사업 시기와 방법 등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원활한 예산 확보와 연구활동을 위해 국가 사업으로 추진해야만 추진에 탄력이 예상되는 만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경제성 등이 검증돼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와 동시에 연구개발을 위해 중앙부처에 연구단 또는 사업단이 구성돼야 만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추진체계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스마트 워터 콤플렉스 사업에 대한 내용적 측면에서 국토해양부와 의견은 일치하고 있다” 면서 “예타 반영을 통한 국가 사업 추진 또는 사업단 유치 등을 위한 외연 넓히기와 정부가 납득할 만한 논리를 보강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