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그들만의 리그(?)’로 끝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다.
특히 사상 초유의 1인 8표제가 시행되는 지방선거에 많은 후보들이 출마하면서 유권자들이 후보 뿐 아니라 정책 또한 알지 못한 채 투표에 참여해야 하는 실정이다.
실제 이번 지방선거에는 도지사와 교육감을 비롯해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교육의원, 광역비례, 기초비례 등 8개 선거에 투표를 해야 한다.
1개 선거구에 최소한 7명의 선출직을 투표로 결정해야 하지만 유권자들이 후보들을 제대로 검증하거나 알 수 있는 기회가 적어 ‘묻지마 투표’에 대한 우려도 높다. 이는 최근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서 부동층의 20~40%대를 기록, 뒷받침해 주고 있다.
그나마 도지사 선거의 경우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일괄이전 여부가 이슈화되면서 선거전을 달궈보지만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무엇보다 교육감 선거가 5명의 후보들이 치열한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50%를 육박하는 부동층을 감안할 때 유권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 교육의원 역시 마찬가지다. 국회의원 지역구보다 넓은 선거구 탓에 유권자들의 표심을 제대로 파고들기에는 다소 물의가 따르고 있어 그들만의 리그에 집중하는 형국이다.
또한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의 경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전북을 텃밭으로 한 민주당 후보가 당과 후보의 인지도가 맞물려 시너지를 효과를 내면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나라당을 비롯한 군소정당, 무소속 후보들은 낮은 인지도를 만회하기 위해 안간힘을 써보지만 쉽지 않는 싸움을 펼치고 있다.
이 가운데 후보들은 저마다 지역의 참 일꾼이라며 유세차량과 선거운동원을 동원하는 등 목청을 높여보지만 대부분 유권자들의 냉랭한 반응만 확인하고 있을 뿐이다. 유권자들 입장에서는 ‘그 후보가 그 후보’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 선거운동 당시 다른 후보들과의 차별성을 들어 보이며 표심을 파고들지만 막상 당선 후에는 지역 내에 커다랗게 변한 것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유권자들의 반응이다.
이 때문에 투표 참여 시 알든 모르든 그나마 한 차례 당의 검증을 받은 후보들을 선택, 결국 묻지마 줄 투표가 속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시민 김 모(32·여)씨는 “많은 선거에 많은 후보들을 세밀하게 검증할 수 있는 기회도 적을 뿐 아니라 누가 누군지 구분하기도 힘들다” 면서 “향후 4년간 지역을 책임질 사람을 뽑아야 하는데 사실 누구를 지지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정가에서는 천안함 사태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년, 야권 연대 등이 중앙 정치 무대에서나 일정부분 선거 이슈로 영향을 미쳤을 뿐 일당 독주의 형태를 보이는 전북지역에서는 일자리 창출 등 유권자들의 요구에 밀려 ‘찬잔 속의 미풍’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