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자체들이 제각각의 금강∼만경강 물길잇기 사업을 발표하고 있지만 실효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새만금 수질개선에 도움이 될만한 통일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관련기사 3면>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금강∼만경강 물길잇기 사업과 관련된 지자체 안은 모두 3가지.
 첫 번째 군산시안은 총 3,900억원을 들여 금강∼경포천∼만경강을 잇는 총 15.8㎞의 하천폭 40m를 50∼100m로 확장해 잦은 범람으로 인한 하류 침수피해를 막고 철새도래지인 금강의 관광기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 익산시안은 총 사업비 1조 9,000억원을 들여 농업용수 확보와 뱃길 복원을 위해 금강∼산북천∼탑천∼만경강으로 이어지는 총 50.1㎞의 물길을 건설하자는 것.
 신설수로 구간이 14.7㎞로 짧은데다 성당포구의 옛 뱃길을 복원한다는 점에서 경제성과 역사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고 익산시는 강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주시는 만경강 상류지역인 소양천에서 새만금까지 모든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한 나룻배 띄우기 프로젝트를 내년도 국가예산 정비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전주시 등 도내 지자체 3곳의 금강∼만경강 물길잇기 사업은 각 지자체의 침수피해와 관광목적의 근시안적인 안일 뿐 전북 대표사업인 새만금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질문제와는 전혀 별개라는 지적이다.
 금강에서 끌어올 수 있는 수량 자체가 한정되어 있는 만큼 한 개 사업을 통한 희석수 도입방안이 검토되어야 하지만 각자의 목적을 충족하기 위한 사업발굴에 혈안이 되면서 결국 희석수 도입 방안에 대한 논의가 뒤로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난 2001년 8월 새만금 개발사업과 관련, 정부의 후속 조치인 세부실천계획 수립시 거론됐던 농촌공사의 희석수 도입방안을 뒷받침할 만한 통일안 마련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전북도가 올 6월 농촌공사의 금강수질 검사결과 이후 희석수 도입방안을 최종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한 만큼 새만금 수질개선에 무게를 둔 각 지자체의 검토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전북도의 희석수 도입방안 최종검토가 올 6월 이후에나 가능한 만큼 5월로 예정된 정부의 4대강 정비사업 마스터플랜 결정이 향후 사업 추진에 있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