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팔복동에서 제조업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63·남)씨의 회사에서 최근 3년간 뽑은 직원 중 가장 어린 사람이 39살이다. 이씨의 공장에서 일하는 직원은 25명인데 절반은 외국인이고, 60세 이상도 적지 않다. 

이씨는 “지역에서 젊은 사람 구하기가 힘들다. 젊은이들이 와서 오래 일할 수 있게 교육하는 것이 좋지만 이제는 그 기대를 저버린지가 오래다”며 “인근 공장 역시 젊은 인력 구하기가 하늘에 별 따기보다 더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청년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지역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되면서 지역·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60대 취업자의 고용률은 54.4%로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0대 이상의 고용률은 2014년 18만 1000명에서 2023년 30만 5000명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타면서 전년대비 1만 4,000명이 많은 30만 5,000명으로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5~29세 청년 취업률은 같은 기간 10만명으로 시작해 2021년 10만 6,000명, 2022년 10만 9,000명, 2023년 10만 7,000명으로 고령층과 비교해 상반된 취업률을 보였다.

60세 이상 취업률이 29세 이하 취업률보다 19만8,000명이 더 많은 것은 전북지역 인구감소 및 청년 타지역 유출이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전북지역 산업 구조의 양질의 일자리 부족 문제와 지역경제를 견인할 신생기업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문제는 무엇보다 심각한 건 전체 지역민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고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 청년들이 타 도시로 이탈되면서 지역경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청년고용 부진을 개선하기 위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래형 자동차, 신소재,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 기업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인프라 구축과 금융지원 등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 15일 ‘지역체감형 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주요 지역 일자리 사업에 올해 722억 원을 투입해 지역의 주력산업 기업과 근로자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고용노동부는 전북, 부산, 인천, 경북, 충북 등 5개 자치단체와 ‘지역체감형 일자리 프로젝트’ 시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전북에서는 농식품 융복합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지원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내 업계 관계자는 “청년인구 유출·고령화 등으로 지역이 체감하는 일자리 상황이 쉽지 않다”면서 “지역·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 추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청년 인재가 지역에 정착해 정부와 자치단체가 함께 사업 운영 및 성과 창출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