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물가 고공행진 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과일과 채소를 비롯한 신선식품 가격급등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식료품 물가가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 같은 급등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면서 서민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1월과 2월 식표품물가지수는 전년 동기보다 6.7%가 올라 2021년 8.3% 이후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 5.3%에서 10월 6.9%로 오른 뒤 올 1월 6.0%까지 4개월 연속 6%대를 기록했고 지난달엔 7.3%까지 뛰어올랐다. 7%대의 식료품 물가 상승세는 2022년 10월 7.5% 이후 처음이다.

물론 물가 상승의 주요인은 작황 부진으로 사과가 폭등수준의 가격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고 대체 수요 과일인 귤, 배, 토마토, 딸기 등의 가격 역시 동반 상승세를 기록한 데 따른 것으로 정부는 분석한다. 과일 물가만 따지만 32년 만에 가장 큰 폭인 41% 상승 폭이긴 하다. 하지만 과일을 비롯해 농·축·수산물이 소비자 물가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5% 정도고 이마저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들어 전반적인 물가 상승세 원인을 과일값으로만 돌리는 건 무리란 지적도 적지 않다. 소비자들이 가장 쉽게 접하고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 사과 등 이란 점에서 가격에 민감해 체감도가 큰 것이지 여타 식료품을 비롯한 서민 먹을거리 주요 상품들의 동반 상승세 역시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일반 가계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오렌지와 바나나를 직수입하고 수입 과일에 대한 추가 관세 인하, 농축산물 할인과 유통업체 납품단가 지원에 800억 원을 투입하는 등 정부가 역대 가장 많은 예산을 풀어 체감할 수준으로 물가를 잡겠다고 했지만 물가 안정에 대한 기대 이전에 실질적인 소비량을 줄이는 소비자가 더 많아질 정도로 폭등하는 먹거리 물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서민 가계를 위축시키고 있는 지금이다. 신선식품 가격이 오르는 속도만큼 민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역시 그에 비례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소득은 늘지 않는데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는 서민 가계에 치명타다. 가파른 장바구니 물가 상승세로 최소의 생계유지를 위한 소비에서조차 부담을 느끼도록 해선 안 된다. 정부 대책이 일선에서 제대로 작동되는지, 더 이상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은 무엇인지, 더 고민하고 역량을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