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최근 국립종자원 전북지원에서 보관 중이던 볍씨에서 곰팡이균이 대거 확산된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동구 의원(군산2)은 7일 제407회 임시회 도정질의에서 “국립종자원 전북지원은 지난해 12월 신동진 볍씨 발아검사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달 후인 1월 25일에야 전북도, 도내 14개 시군 등과 처음으로 문제를 공유하고 해법을 논의했고 사고가 발생한 지 석 달이 넘도록 명확한 원인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는 도내 신동진 벼 재배농가가 전체의 49.3%를 점유하고 있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민들의 몫으로 남게 되었으며, 올해 도내 신동진 보급종 공급 가능량이 계획대비 71%, 공급 희망량(1,792톤) 대비 42% 수준으로 종자 공급에 심각한 차질을 빚게 되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번 사태에 대해 일부 농민들은 신동진 품종을 퇴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관리를 소홀히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농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가 우선되어야 하며 전북자치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도내에서 재배하는 벼 품종이 20년 넘게 신동진 단일품종으로 집중되면서 다양한 품종을 개발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으나 지난 10년 간 도내에서 벼 신품종으로 등록한 품종은 향미 1개, 찰벼 1개, 흑미 4개로 특수미 6개 품종이 전부다”고 지적했다.

또한 “신동진 벼를 대체할 만한 신품종 전환이 시급한 가운데 전북자치도가 벼 재배 품종의 다변화를 위한 품종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윤홍식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