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산림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오늘도 고군분투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 산불이 가장 잦아지는 3월을 앞두고 각종 대비로 분주한 전북 산불방지대책본부가 그 주인공이다. 날이 갈수록 대형화되어가는 산불을 사전에 막기 위해 긴장 속에서도 묵묵히 업무에 힘쓰고 있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전북 산불방지 대책본부는

전북 산불방지 대책본부는 산불이 잦아지는 봄·가을철 위주로 운영된다. 

올해도 지난 1일부터 도·시군·읍면동 총 258개소에 봄철 산불대책본부가 설치, 오는 6월 15일까지 도내 산불 예방을 위해 운영될 예정이다.

도 산불대책본부의 경우 평소에는 상황실장인 도 산림녹지과장 아래 총괄상황반 1명으로 운영되지만, 향후 산불 진행 규모에 따라 근무인원을 차출해 진화지휘반, 홍보지원반, 조사복구반, 근무지원반 등 분야를 나눠 탄력적으로 운영하게 된다.

▲산불 예방을 위해 진행하는 일들

봄·가을철 산불 조심 기간 이전 14개 시군은 합동 또는 자체 점검을 통해 산불에 더 철저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산불방지 대책본부 운영 시작 이후 현재는 산불감시원 760명, 전문진화대 658명, 산불 감시카메라 80대, 감시초소 80곳 등이 산불 발생여부를 감시하고, 산불이 날 경우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가동되고 있다. 

또 산불 예방을 위해서는 경보장치 179대, 휴대용 무전기 1,526대, 무선국 206곳 외에도 산불기계화 진화시스템과 관련해 장비 25대와 177명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1월부터 산림인접지역 논·밭두렁 소각행위가 전면 금지되면서 전북지역 14개 시군 중 12곳에 총 77개의 농산부산물 파쇄기 운영을 시작하기도 했다.

산림과 인접한 마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서약도 계속 진행된다.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서약이란 각 마을 공동체별로 규범을 형성해 소각 근절을 위해 노력하자는 것을 골자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지난해의 경우 총 2,419개 마을이 참여해 이중 2,414곳에서 서약이 이행됐다.

올해도 2,700곳이 서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차츰 참여 마을을 늘려갈 예정이다.

이외에도 매년 산불감시원과 진화대, 유관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산불방지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한편, 지속적인 산불 예방 홍보활동과 산불 조기발견 시스템 구축, 입산 통제구역(167개소 8만 5,000 헥타르)을 운영하고 등산로를 폐쇄(84개 노선 561km)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진화를 위해서 기울이는 노력도 상당하다.

대표적으로는 산불진화용으로 운영되는 임차헬기 3대가 있다. 해당 헬기들의 경우 전북지역 3곳에 상주하며 골든타임(30분) 내 현장 도착과 빠른 초동 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임차헬기는 지난 2002년 4월 익산 왕궁면 야산에서 불이 나 133.7헥타르가 불에 타는 등 불과 9일 새 3건의 대형 산불이 잇따랐던 것을 계기로 지난 2010년부터 도입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240회 2만 3,680분 운행했으며, 이 가운데 178회(1만 7,630분)가 산불 진화에 쓰였다.

또 산불 규모가 조금이라도 커질 때에는 익산산림항공관리소와 함양산림항공관리소의 진화 협력체계가 발동될 수 있도록 해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전북지역 산불 현황은

이렇듯 산불을 예방하고 신속히 진화하기 위해 만전을 기울이는 것은, 전북지역 역시 산불로부터 안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전북지역의 경우 전체 산림 면적이 44만 1,000헥타르에 달하는데, 전체 산림 면적 가운데 침엽수림이 37%, 활엽수림이 34%를 각각 차지하는 등 산불에 취약한 침엽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수일수가 줄고 건조일수가 늘어난 것도 산불 증가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됐다.

유독 적은 강수량과 더불어 찾아온 겨울 가뭄때문에도 산불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전북지역에서는 매년 산불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10년(2018~2022년)간 전북지역 산불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이 기간 중 도내에서는 총 258건의 산불이 나 85.37헥타르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다.

원인별로는 입산자 실화가 123건(47.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논·밭두렁 소각 36건(14.0%), 쓰레기 소각 32건(12.4%), 성묘객 실화 23건(8.9%), 담뱃불 실화 11건(4.3%), 기타 33건(12.7%) 등이었다.

월별 산불 발생 현황을 보면, 3월이 74건(28.7%), 4월이 73건(28.2%), 2월 29건(11.2%), 5월 20건(7.75%), 11월 11건(4.2%), 1·6월 10건(3.9%), 10월 9건(3.5%), 12월 8건(3.1%), 8·9월 5건(1.9%), 7월 4건(1.6%) 순으로 1~2월부터 차츰 발생빈도가 늘어 3~4월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3년 29건, 2014년 28건, 2015년 21건, 2016년 13건, 2017년 23건, 2018년 28건, 2019년 21건, 2020년 23건, 2021년 22건, 2022년 50건으로 지난해 유독 많은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해 11월 15일 발생한 완주군 운주면 야산 산불은 개중 유독 진화에 긴 시간이 소요돼 직원들의 기억에 남기도 했다. 

진화 완료 뒤에도 낙엽 아래 남아있던 불씨가 거듭 되살아나면서 산불발생 나흘째에야 겨우 완전히 진화됐기 때문이다.

당시 산불로 인해 5ha의 산림이 피해를 봤다. 

지난해 6월 21일에는 장수군 산서면 한 야산에서 성묘 중 실화로 추정되는 불이 나 성묘객으로 추정되는 A씨(82·여)가 불을 끄던 도중 숨지는 등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

산림당국 관계자는 “지난해 장수 산불의 경우 비록 피해 면적은 0.02헥타르로 정말 작은 규모의 산불에 해당했지만, 나이 많은 어르신이 모처럼 성묘를 왔다 이 같은 사고를 당하신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며 “이런 사례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산불을 철저히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산불 대부분이 입산자 실화로 발생하는 만큼, 산행·운동 등 입산을 할때에는 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 구간에는 들어가지 마시고 라이터 등 화기도 지참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지난해부터는 산림 인접지역내 논·밭두렁 태우기 등 농업부산물 소각행위도 전면 금지됐기 때문에 농·산촌 주민분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자발적 소각근절 유도를 위한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캠페인에도 각 마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