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스포츠가 지역경제 활력 촉진 수단으로 주목받으면서 자치단체마다 e스포츠 문화산업 육성에 뛰어들고 있지만, 전북도는 산업 활성화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북은 "e스포츠상설경기장 건립 등 산업 육성에 의지를 보이는 기초지자체가 없다"며 시설 확충을 비롯해 관련 산업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부산과 광주, 대전은 e스포츠 경기장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으며, 진주시에서도 2022년 개관을 목표로 경기장을 짓고 있다. 그러나 전북에서는 e스포츠 경기가 진행될만한 시설이 없는 것은 물론, 재원마련 계획도 없어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6일 전북도와 전라북도콘텐츠융합진흥원에 따르면 현재 e스포츠 문화산업에 책정된 예산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 업무 역시 e스포츠협회가 주최하는 대통령배 아마추어 e스포츠 대회 지역 본선 운영이 전부다. 

문제는 전북은 e스포츠 문화산업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e스포츠 산업이 커지고 있다는 데 있다. 

2020년 글로벌 e스포츠 업계에서 달성한 수익이 한 해 1조3000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2021년부터는 e스포츠 산업의 수익이 연평균 15.5%씩 증가해 2023년 약 1조9161억을 기록할 것이라는 자료도 공개됐다. 

이런 흐름에 맞춰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까지 e스포츠 지역 상설경기장 5곳을 신규로 만들고, 전국 PC방 100곳을 선정해 e스포츠 시설로 지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e스포츠 경기장이 지역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관광상품과 연계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겠다고 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전국 지자체들은 e스포츠 상설경기장 지원사업 공모에 뛰어들었다. 전북에서도 전주시와 익산시가 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과 협업해 공모사업을 준비했으나, 매년 발생하는 운영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공모를 포기했다. 이후 e스포츠상설경기장 건립을 비롯해 산업 육성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며, 현재까지 별다른 계획이 없는 상태다. 

전북도 관계자는 “e스포츠상설경기장 건립은 투자 대비 효과의 검증이 아직 미진하다”며 “매년 발생하는 운영비용이 만만치 않고, 게임사의 협조가 동반되지 않으면 예산을 떠나 시설 운영 자체가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콘텐츠융합진흥원이 e스포츠 대회 운영을 지원하고 있고, 기능성 게임산업 육성을 위해 전북게임산업지원센터가 가동되고 있는 만큼 e스포츠 문화산업의 저변확대와 진흥에 대한 방안 마련 등에 대해 고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도 게임산업 발전 공약 중 하나로 ‘e스포츠 지역 연고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수도권 중심의 e스포츠 산업을 지역으로 넓히고, 이를 위해 지역에 e스포츠 경기장을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정부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e스포츠 산업 육성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15년부터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e스포츠 산업이 코로나19 여파로 더욱 각광 받고 있는 만큼, 산업 육성을 위한 전북도의 적극적인 행보가 요구된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