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양문화시설의 대규모 확충을 통해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들의 해양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민수요에 대응하고, 해양자원의 역할 및 기능 등을 확대하고자 해양문화시설을 건립하고 있는 것이다.
국립해양문화시설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등대박물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등으로 최근 인천과 청주지역에서는 국립해양문화시설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돼 본격적인 건립이 추진된다고 한다.

청주의 경우 해양문화교육거점 시설 대부분이 해양 및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건립됐으나 내륙지역의 해양문화 시설이 전무하다는 이유로 ‘미래형 해양과학관’ 건립을 확정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전북은 바다와 해양자원이 풍부한 지리적 특성을 가진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국립해양문화시설의 불모지다.

전북의 해안선은 548.5㎞로 우리나라 전체 해안선의 3.7%(1만4962.8㎞)를 차지하고 있다. 육지부해안선 249.05㎞ 중 자연해안선은 40.4%, 인공해안선은 59.6%를 차지하고 있다. 자연해안선 비율의 경우 인천 28.9%, 경기 29.4%, 울산 31.2%보다 높다.
바닷가 면적은 3.06㎢로 국내 전체 바닷가 면적 17.65㎢ 중 17.3%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바닷가 면적을 보유한 전남(8.89㎢, 50.4%)에 이어 두 번째다.

또 해양 연안 11개 지역 중 전북의 어촌체험 마을 이용객수 비율은 경기, 경남, 강원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12.1%)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은 다양한 해양자원과 우수 관광 여건 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해양지역을 보유한 국내 지역 중 유일하게 해양문화시설이 없는 상황이다.

해양수산개발원의 보고서를 보더라도 국립·공립·사립 등을 포함해 해양문화시설 분포도는 전남(27.8%), 서울·인천·경기(16.3%), 경남(11.6%), 부산(11.6%), 경북(9.3%), 제주(9.3%), 전북(0%)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전북은 새만금과 군산, 부안, 고창 등에서 풍부한 해양자원을 보유하며 이를 활용한 해양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음에도 관련 시설이 없어 해양문화격차가 심각하다는 얘기다.

오죽하면 국가계획 및 국책기관 연구에서도 전북은 해양문화시설이 전무해 해양문화, 관광, 체험, 해양교육 기능이 가능한 정책적 필요성을 언급할 정도다.
전북에 국립해양문화시설 설립으로 지역 간 해양문화격차를 해소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