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인구 감소의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인구 180만명 붕괴가 사실상 현실이 됐다. 지역에서 희망을 찾지 못한 청년인구의 수도권 전출은 여전하고 지역으로 인구유입을 위한 모든 정책은 사실상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다. 특단의 조치가 없는한 ‘전북소멸’을 앉아서 바라봐야 하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음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전북 인구는 180만1319명으로, 전달(180만2748명)에 비해 1429명 줄었다. 지난해 2월(181만5112명)과 비교하면 1만3793명이, 2018년에 비해선 무려 3만5513명이 감소했다. 3~4월 중 전출인구가 한해 중 가장 많았던 상황을 감안하면 전북인구는 지금 170만 명 수준으로 주저앉은 것으로 추정된다.

취약한 산업기반 탓에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렵고 청년층의 ‘탈 전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하는데 이를 못하고 있어서다. 전북도가 현재 추진중인 시·군 출산장려금이나 전입장려금 등 단발성 인구 정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신혼부부 주택 자금과 청년 정주여건 조성 등 장기적 안목의 정책을 검토하고 있지만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 청년층이 지역을 등지고 있고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경제적 여건에 결혼자체를 미루거나 포기하면서 나타난 저출산 현실을 국가나 지방정책으로 해결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임여성 자체가 줄면서 설사 출산율이 높아진다 해도 인구구조를 ‘증가’세로 전환 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인구가 늘어난다면 이보다 좋은 일이 없겠지만 당장은 인구감소 추세를 늦추는 정책만이라도 분명한 효과를 거두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20~30대는 일자리를 찾아 떠나고 40~50대는 문화나 예술, 교육 등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정주여건 악화에 많은 불만을 갖고 있는 전북이다. 60대 이상 은퇴자들에게 있어서도 전북은 그리 만족스런 곳이 아니다. 새롭게 들어와서 머물 수 있기를 기대하기에 앞서 지금 도민들이 앞으로도 지역에 남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부터 고민해야 한다. 떠나기 싫은 지역이라면 살기 좋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부르지 않아도 올수 있단 의미다. 인구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하다. 특히 지자체는 물론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정부의 특단의 맞춤 대책이 시급하다. 지역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는데서 부처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