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최근 3년 동안 76억원의 혈세를 투입하며 소나무재선충병 방지에 나섰지만 오히려 소나무재선충병이 더욱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와 올해 김제와 군산에서 재선충병이 발생한 데 이어 최근 익산에서 또 다시 재선충병이 발생해 방역과 방제활동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0일 국회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는 최근 3년 동안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3893억7600만원의 혈세를 투입했지만 지난해 재선충병의 재발생율은 전년(2014년)에 비해 1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의 경우 최근 3년 동안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76억4000만원을 투입했다. 연도별로는 2013년 15억2200만원, 2014년 29억6500만원, 2015년 31억5300만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막대한 혈세 투입하고도 소나무재선충병 더욱 확산됐다. 소나무재선충병에 의한 피해 고사목 수는 2013년 6만1670에서 2014년 1만7108그루로 줄었지만, 2015년 6만8693그루로 5만1585그루(402%)가 증가했다. 재발생률이 대구(681%), 충북(491%)에 이어 전국 3번째로 높았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역과 방제활동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익산 함열읍 홀산리의 임야에서 재선충병 의심 소나무가 감염으로 최종 확인돼 산림당국이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2009년 산림청으로부터 소나무 재선충병 청정지역으로 지정된 익산시에서 발생한 이번 감염은 소극적인 대응이 예방활동의 한계를 보였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김제와 군산에서 소나무 재선충병이 발생했는데도 인근지역인 익산시는 4명으로 구성된 예찰단에게 익산 전역의 예방과 예찰활동을 맡겨 왔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달 21일 재선충병 의심목이 발견돼 전북산림환경연구소에 감염여부 확인을 의뢰한 뒤 26일 감염이 확진됐지만 28일에서야 이동제한 초소를 설치하고 직원이 근무하는 등의 늑장 대응도 논란이 되고 있다.
위 의원은 “재발생률과 발생지역의 증가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의 총체적 실패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민의 혈세 낭비를 막기 위해 철저한 원인규명과 방제대책의 대폭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