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용 전주시 인권담당관 
 인간은 본능적으로 행복을 추구한다. 그 행복은 기본적 의식주를 포함하는 생존의 욕구와 더불어, 인간으로서 존중받으며 행복하게 살아갈 권리를 포함한다. 이것이 인권의 기본가치이며, 인권의 역사는 이 단순하지만 중대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끝없이 투쟁해온 도전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인권은 고정불변의 개념이 아니며, 시대가 달라지고 사회모습이 변화함에 따라 인권의 내용은 항상 수정될 수 있다. 인류는 더 많은 사람들의 권리를 발굴하고 지켜내며 인권의 역사를 발전시켜왔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권의 분야가 더 다양해지고 복잡하게 세분화되었다. 이는 때로는 긍정적 결과로 이어지지만 때로는 이념의 문제로 비화되는 등 다양한 갈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인권의 이념을 구체화하고 정책화하는 인권행정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사실상 인권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행정과 시민 간의 ‘네트워크’다. 인권정책 확대와 인식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행정의 언어로 시민들에게 이해를 구함과 동시에 시민의 언어를 수렴해 행정의 틀을 바꿔나가는 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인권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이 네트워크의 원활한 소통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인권에 대한 전방위적인 이해와 적용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 네트워크의 활약이 끊기면, 행정과 시민의 삶이 각개로 흩어져 융합된 정책을 낼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인권이 사회적 ‘불화’를 전제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 불화는 부정적 의미가 아닌, 투쟁과 갈등이 수반된다는 뜻이다. 모든 인간은 존엄하지만, 그 존엄을 지키기 위한 현실은 평온하지만은 않다. 강력범죄 피의자의 신상공개 여부, 양심적 병역거부 논란, 난민 수용문제, 성소수자의 권리보장,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첨예한 입장 차이와 논란 속에서 인권의 가치를 올바르게 추구한다는 건, 이미 불화를 전제한다. 이러한 인권의 불화는 행정과 조화롭게 추구되기 어려운 것이다. 즉, 행정은 불화를 천천히 받아들이고, 시민은 행정의 보수성과 견고함을 만나 변화를 위해 하나씩 맞추어 나가야 한다. 
 인권행정은 ‘네트워크’와 ‘불화’의 중심에서 균형을 이루며 도시 전체의 더 나은 성장을 도모하는 역할을 맡는다. 행정과 시민의 가운데서 채널 역할을 하며, 때로는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때로는 조율의 역할을 한다.
 전주시는 2016년 인권팀을 신설하고, 2019년에는 인권담당관을 직속기구로 만들어 전직원 인권교육 및 시민 인권 상담을 확대하는 등, 행정과 시민의 이해와 협력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며 가장 인간다운 인권도시 전주로 나아가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권에 대한 전반적인 행정의 인식을 확대하고,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을 여성인권의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개념의 전환에 기여했으며, 코로나19 등 위기 국면에서 사람의 가치와 생명, 인권을 우선한 착한임대인운동, 해고없는 도시 상생선언 등 협력과 연대 정책의 가치 기반을 마련해왔다. 
 세계인권선언 제 1조는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고 선언하고 있다. 전주가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람의 가치와 생명, 인권을 최우선으로 인권도시를 만들어온 것은 우리의 큰 자부심이다. 앞으로도 전주가 모든 사람의 존엄성을 지키며 함께 공존하는 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두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있기를 소망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