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인한 많은 후유증 가운데 교육 분야 손실도 크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비대면 수업 등으로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활동도 타격을 입었다. 그만큼 학생들은 학력 저하는 물론 대인관계나 정서 생활 등 여러 면에서 손실을 본 셈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평가원이 13일 발표한 ‘2021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면 이런 실정이 확연히 드러난다. 이 평가는 중3 · 고2 학생 가운데 3%에 해당하는 2만2천여명을 표집해 국어 수학 영어 학력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지난해 중3과 고2 학생들의 주요 과목 학력이 코로나 19 이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2 국어 학력은 2020년보다 더 떨어져 표집평가가 이뤄진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성취도를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해에는 거의 모든 교과에서 보통학력 비율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비대면 수업 1년 차였던 2020년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한 학력 격차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는 증좌다.
  예상은 했지만 막상 그런 결과를 받아들고 보니 걱정이 커진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는 부분은 바로 기초학력 미달이다. 고2의 경우 국어는 7.1%, 수학은 14.2%, 영어는 9.8%의 학생이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정도 수치는 코로나 19 이전 보다 상당폭 늘어난 것이며 선진국들에 비해서도 높은 편이다. 
  이제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학력 강화 정책을 강구할 때다.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 이를 해결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다행히 지난 3월 말 기초학력보장법이 시행에 들어갔다. 이 법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정하고 이에 미달할 경우 필요한 국가가 지원을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보통 기초학력은 문해력과 수리력을 의미한다. 한편 교육부는 앞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학력 격차를 줄이고자 교육결손 해소를 위한 중장기 이행방안을 마련해 올해 10월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한다. 
  교육계에서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정규교원 확충과 학급당 학생 수 감축, 교사 행정업무 획기적 경감, 교권 확립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오래전부터 제시된 실질적인 대책들이다. 또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지도, 효과적인 지도 방법 발굴 등 체계적인 방안들도 나와야 한다. 정부는 구호만 외칠 게 아니라 실천 의지와 역량을 보일 일이다. 더욱이 관련법이 제정된 만큼 모든 학생이 기초학력을 갖추는 것은 국가의 책무이다. 당연히 정부는 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