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1. 도내 대학이 망해간다 - 비자발급제한대학 후폭풍
전북내 외국유학생들의 비중을 출신국 별로 살펴보면, 중국과 일본, 우즈베키스탄, 몽골 등 아시아지역의 학생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중국 유학생들은 2925명으로 전체 유학생 7599명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4월을 기준 전북 전체 외국유학생이 7599명이 재학 중이며 그 중 중국 유학생이 2925명이 재학하고 있었다. 
▲비자발급제한대학 후폭풍...지역경제 ‘직격탄’
비자발급 제한대학이 늘어난 데는 대학들이 유학생유치에만 급급한 채 관리는 도외시한 결과다. 
현재 대학들이 정원 외 전형으로 유학생을 모집하는데 교육부가 모집인원에 제한을 두지 않고 대학 자율에 맡기고 있다. 
이런 허점 때문에 마구잡이식 유학생 유치전이 펼쳐지고 유학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며 돈벌이를 하거나 잠적 후 불법체류자가 되더라도 실태 파악이 되지 않는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다 보니 전북에선 학위과정의 경우 ‘전주대’와 ‘원광대’, ‘예원예술대’, 어학연수과정은 ‘우석대’가 비자발급제한대학이라는 불명예를 받았다.
해당 대학은 1년간 신·편입 유학생과 어학연수생 유치를 할 수 없게 됐다. 
대학 입장에서 보면 ‘1년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처지인 셈이다. 
강원연구원이 조사한 외국유학생 1인당 연간 지출규모를 보면 기숙사비와 생활비 등을 모두 포함해 학부생은 1447~1723만원, 어학연수생은 1063~1312만원 정도를 쓰고 있다.
외국유학생 1인당 평균 1500만원을 지출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비자발급제한에 포함된 전주대는 237억여원,우석대 160억여원, 예원예술대 134억여원, 원광대 46억여원의 경제적 손실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와 지역경제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학생 유치... 대학과 지역경제 살릴 ‘빗물’ 
대학이 무너질 경우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은 남원 서남대 폐교로 이미 지켜본 바 있다. 
서남대 폐교로 대학 인근의 원룸촌과 상가들은 폐허가 되다시피 했고 부동산 가격도 바닥 모를 추락을 이어갔다. 대출금을 갚지 못해 경매로 넘어간 건물도 즐비했다.
대학 폐교에 따른 지역 경제 몰락은 예정된 수순이다. 이 같은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하겠지만 출산율 저하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등의 요인은 대학 입장에선 ‘눈에 보이는 불’이다. 
지난해 전북 도내 출산율은 0.85로 4년 연속 최하위권 인데다 매년 평균 6000여 명의 청년들이 전북을 떠나고 있다. 전북의 14개 시군 중 11개 시군은 소멸지역으로 분류됐다.
지방에 위치한 도내 대학들은 유학생 유치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불리한 입장이다. 
특히, 교육환경이나 재정자립도 등 수도권 대학에 비해 열세에 있는 도내 대학의 학생 유치는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유학생 관리는 ‘생존 위한 생명줄’
외국유학생이 도내에 유학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지방대학재정 보전 등의 단기적 이익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우수 인적 자원 영입을 통해 그들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 전북을 알리는 홍보대사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국유학생 유치 확대는 지역대학 학생 유치 난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전북의 지역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교육 선진화를 추진할 수 있다는 의미다.
대학 관계자는 “학생이 없는 대학은 살아날 방법이 없다”며 “외국유학생 유치와 관리는 생존을 위한 생명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성이 극명하게 드러난다”고 말했다./고민형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