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새만금 유치 기업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 발전 계획을 내놨다. 혁신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육성하고 시장 선점을 통해 전북 미래를 열어 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시한 4대 정책목표와 8개 핵심과제엔 현재 새만금에 추진 중인 SK데이터센터를 토대로 한 기업 추가 유치와 연관 산업 구축이 당면과제로, 탄소융복합산업과 수소경제 실현의 선도지역 성장에 대한 계획도 포함시켜 놓고 있다.
지역의 오랜 전통산업이나 지역 특화 산업에 대비되는 신산업은 이름 그대로 새로운 주력 산업을 키워 국가나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도록 하는 개념이다. 지난 1995년 일본이 신규사업지원에 역점을 두기위해 도입한 정책이었고 우리도 지난 1998년 21세기를 대비한 새로운 산업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본격화됐다.

세계화 대응에 신산업 육성은 필수고 여기서 도태되면 국가 성장은 멈출 수밖에 없다는 절박감에 정부는 국가경제 근간을 바꾸는 혁신에 앞장을 서게 했고 전국 지자체들 역시 신산업육성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고 있다. 도가 내놓은 이번 계획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추진전략이 미흡하고 그동안 되풀이 됐던 신산업육성정책의 재편집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제는 총론이 아닌 각론의 수립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대안이 나와 줘야 한다는 시급함 때문이다. 목표나 기반강화, 발판의 마련이라는 방만한 말잔치가 아닌, 무엇을 어떻게 언제까지 마무리하겠다는 실증 가능한 확실성을 인정받을 만한 구체적 정책의 실현이 필요한 단계가 됐단 것이다.   

지역이 추진한 신산업 발전 속도를 정부가 따라가지 못한다면 이에 대한 문제점을 강력히 요구할 만한 의지와 노력이 있어야 한다. 경제의 모든 분야에서 추진되는 신산업이고 전북역시 디지털에서부터 탄소, 수소에 이르기 까지 분야별, 단계별, 기관별로 각기 다른 영역의 신산업을 추진하고 있기에 이들 주체와 얽혀야 하는 과정에서 마주할 장벽을 넘어설 실력과 돌파력은 필수다. 경제주체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필요성 못지않게 확산과 발전 속도 역시 급격하게 진행되는 신기술, 신산업이기에 더욱 그렇다. 자칫하면 계획만 세우다 끝날 수도 있다. 신산업 육성이 말만 앞서는 것 아니냐는 지적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