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강소권메가시티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광역시가 없는 전북의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특화전략 마련을 위해 동일조건의 광역지자체인 강원, 제주 등과의 협력과 연대도 강화키로 했다. ‘강소권 메가시티’ 연합전략을 정부의 초광역 메가시티 지원에 차별받지 않는,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다.

특히 지난 1일 국무조정실은 ‘범정부 초광역 지원협의회’ 2차 회의를 통해 강소권 특화발전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국조실과 행안부가 공동 주관하는 TF를 구성해 강소권지역의 요청과 건의 사항을 수렴, 중앙정부차원의 지원방안을 모색키로 결정했다. 범정부 초광역 지원협의회 산하 TF이긴 하지만 일단 메가시티지역 소외지역에 대한 정부 의지를 확인케 한 진일보한 결정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10월 송하진도지사가 광역협력 지원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광역시 없는 전북, 강원, 제주 등 강소권역을 위해 별도의 특화전략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력히 주장한데 이어 이들 3개도 기조실장을 중심으로 ‘강소권 메가시티 지원 실무 협의회’를 구성하는등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대응에 나서면서 정부를 압박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렇지 않아도 이미 광역시로 몸집을 키운 지자체 들이 다시 주변의 지자체들과의 행정통합을 이뤄가는 과정에서 소외될 전북의 위기에 대한 우려는 컸다. 메가시티 대상에선 제외됐다 해도 이미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성장한 제주도나 수도권 인접에 내륙 최고의 풍부한 관광 자원까지 가지고 있는 강원도와 비교해서도 전북이 처한 상황은 ‘철저한 소외감’을 가지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전북이 추진중인 강소권메가시티에 정부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통로가 일단 열린 만큼 이젠 체계적이고 획기적인 발전전략을 담아낼 구체적인 논의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때가 됐다. 전북메가시티의 구체화를 서둘러 허울뿐인 큰 덩치보단 충분한 실익을 담보할 내실을 추구하는 노력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광역시중심의 메가시티 조성에 벌써부터 경남도 등에선 전북이 독자적으로 추진중인 ‘강소메가시티’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한다. 전북강소메가시티 성공가능성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위기를 기회로 만든 성공적인 강소메가시티로 전북이 자리매김 하길 기대해 본다. 긍정적 의미의 큰 부담이 전북도에 주어졌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