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오름세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전북의 물가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돼 지역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천정부지로 오른 주거비 부담에 치솟는 금리로 이미 심각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지역 서민들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소비자물가 급등 부담까지 더해지는 경제적 위기 상황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 22일 밝힌 3분기 전국 소비자 물가 지수는 1년 전보다 2.6%가 올랐다. 세종시를 제외한 전국 16개 모든 시·도에서 물가가 상승한 것으로 이중 전북과 제주가 전국에 가장 높은 3.2%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 유가 급등으로 인한 석유류의 상승을 비롯해 개인서비스, 외식, 농축산물 가격이 급격히 오른데 따른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하지만 전국적인 현상이고 과거 전북의 소비자 물가가 타시도에 비해 다소 낮았던 상황 등을 감안한다 해도 식료품등의 생필품을 비롯해 일반의 소비생활과 직결된 집세나 서비스물가 지수 등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지역 물가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온다.

서울이 1%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인천이나 부산 등의 대도시 물가 역시 2% 수준으로 관리됐던 상황을 감안할 때 이들 지역에 비해 경제규모가 작은 지방 도시의 물가 급등으로 인한 충격은 클 수밖에 없다. 수입이 적다해도 물가가 낮으니 버틸 만 하다는 위안을 받을 수 없게 됐다는 것이고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까지 더해지면서 생활고 가중에 대한 위기감마저 확산되고 있어서다.  

심상치 않은 물가 오름세에 대한 경고가 지속적으로 나왔음에도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2%대를 유지했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대로 올라서면서 지난 2012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에 지금도 여전한 국제원자재값 상승, 여기에 부동산 폭등과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가계를 압박하는 요인은 수두룩하다. 물가상승은 소비위축과 이로 인한 생산과 고용감소, 그리고 필연적인 경기침체라는 악순환이 우려되는 이유다. 머뭇거리다 실기하면 지금보다 더 큰 위기를 맞게 된다는 경고가 나온다. 물가 폭등세를 잡고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