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본 유치는 지역발전의 주요 원동력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발연대 이후 정부 주도로 해외 자본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경제개발을 도모했다. 지방자치 실시 이후에는 지방정부들도 이에 적극 나서서 상당한 성과를 이끌어냈다. 물론 실패 사례도 적지 않지만 대체로 해외자본 유치가 신산업 육성이나 고용 창출, 지역 생산 증대 등 여러 면에서 긍정적이라는 데는 이론이 없다.

특히 전북은 새만금이라는 보물을 갖고 있다. 지정학적 위치도 좋고 넓은 땅에 지가나 임대료도 상대적으로 낮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그럼에도 안타까운 것은 아직 이 분야에서 성과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아직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고 인센티브 제도도 완벽하게 정비되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허허벌판이나 다름없는 새만금의 현주소를 보면 외국인들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이해가 간다.

그렇지만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남북 간선도로가 뚫렸고 고속도로 공사도 한창이다. 정부도 지원책 마련에 부심하는 모습이다. 거기에 세계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고 ‘스마트 그린산단’, ‘스마트 수변도시’ 등도 가시화 되는 중이다.

새만금 개발청이 지난 9일 ‘한-산동성 경제통상협력 교류회’에 참석해 중국 자본 유치활동을 폈다고 한다. 한국과 중국 기업인 등 100여명이 온라인으로 머리를 맞댄 이날 교류회에서 새만금 개발청은 그린 성장과 신산업 중심지로 부상하는 새만금에 대해 홍보 마케팅을 벌였다.

여기서 지적해야 할 것은 새만금에 대한 지방정부의 역할이다. 과거 여러 차례 해외 자본 유치활동에서 실패한 탓인지 전북도나 인근 시군들은 손을 놓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물론 국가 기관인 새만금 개발청이 주도 한다지만 지금처럼 남의 일 보듯 해서는 곤란하다.

강원도의 경우 해외자본 유치 자문관 제도를 운영하는가 하면 제주도, 경기도 등은 이미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래서는 안 된다. 좀 과장하면 목숨을 걸어야 한다. 이렇다 할 성장 동력이 없는 전북으로서는 새만금에 명운을 거는 것이 사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