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동조합과 보건복지부의 노정 실무협의타결로 2일 오전 7시로 예고했던 의료노조의 ‘전국총파업’이 철회됐다. 우려됐던 의료공백으로 인한 현장에서의 심각한 혼란은 일단 피할 수 있게 됐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하루 평균 2천명을 오르내리는 신규확진자가 발생하는  엄중한 상황을 외면하지 않고 파업 자제에 의견을 모은 것은 참으로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보건의료노조가 요구해왔던 코로나19 전담병원 인력 기준 마련, 공공의료 확충 세부계획수립 및 처우개선,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등에 대해 정부가 이를 적극 수용하고 신속한 반영을 약속하면서 타결의 물꼬를 텄다. 합리적인 노조의 요구와 정부의 진정성 있는 의지가 얼마만큼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확인케 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동안 13차례에 걸친 교섭을 진행했지만 핵심쟁점에 대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엄중한 코로나시국에 보건의료노조 파업으로 인한 의료대란 현실화 우려는 컸다. 전북에서도 3곳의 의료원을 포함해 5곳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인원 절반에 해당하는 400여명이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였다. 특히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인력은 제외한다고 했지만 이들 의료기관은 도내 해당 일선시군 종합의료업무의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곳이란 점에서 의료진 공백으로 인한 부작용은 심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보건의료노조가 의료 인력의 땜질식 운영과 감염병에 대한 제대로 된 대응체계구축,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의 전환점을 마련하게 됐다며 파업을 철회는 했지만 이는 정부 제안에 대한 신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에서 이제 모든 과제는 정부로 넘어갔다. 열악한 처우개선을 위해선 당장 정부의 예산반영이 뒤따라야 하고 또 제도개선을 위해선 국회의 협조와 이해와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의료대란은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고 이에 대한 1차적 요인은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불신에 기반 할 가능성이 크다. 어렵게 도달한 노정간 합의에 대한 정부와 국회의 진정성 있고 책임 있는 추진의지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