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기대 속에 자치경찰제가 도입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도민 3명중 1명은 아직도 자치경찰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과의 소통강화를 통한 지역 맞춤형 치안확립을 위해선 아직도 갈 길이 멀단 의미다.

전북도 자치경찰위원회가 지난 7월12일부터 8월6일까지 도민 1706명을 대상으로 자치경찰의 사무와 자치경찰제도 등 4개 분야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결과 응답자의 7.6%가 자치경찰제도를 전혀 모르고 있었고 ‘모른다’는 응답도 27.8%였다.

전체의 35.4%가 자치경찰이 하는 일이 무엇이고 지역주민에게 어떠한 긍정적 효과를 주게될 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자체 경제나 특성을 고려한 지역 내 주민의 치안과 학교폭력, 아동·여성범죄를 비롯해 재난상황에서의 긴급지원, 교통 및 안전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자치경찰은 독립적인 조직운영을 통한 지역상황에 맞춘 효과적인 치안정책과 주민 서비스 확대, 그리고 경찰권의 민주적 운영이 가능해지면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는게 사실이다.

아직은 시행 초기이고 또 경찰업무의 특성상 일반인이 긍정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나 기회가 한정될 수밖에 없단 점에서 이해도가 떨어질 수는 있다. 향후 기대되는 기능으로 생활주변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치안에 대한 도민참여가 늘 것이란 도민들의 기대는 자치경찰의 분명한 긍정적 평가이기도 하다.

하지만 도민의 30%이상이 아직도 자치경찰을 기능과 역할을 알지 못한다는 것은 지역주민의 관심을 이끌어내 보다 적극적인 협업과 소통이 가능해 질 것이란 기대치를 크게 낮출 수밖에 없단 점에서 대책이 필요한 부분이다. 주민에 더욱 가까이 가겠다는 자치경찰제도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주민 인식개선도 필요하지만 변화된 치안서비스를 체감토록 하겠다는 자치경찰 스스로의 ‘주민에게 한발 더’를 위한 노력이 아직은 부족하단 결과이기 때문이다.

경찰의 일부 업무를 나눠 자치경찰이 맡도록 하는데 불과한 무의미한 업무분담이란 평가를 받아선 안 된다. 특히 자치경찰제도의 무관심이 자칫 불신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은 경계해야 한다. 자치경찰제 안착, 아직 많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