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와 정부 간 교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의료 총파업’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총파업이 ‘의료 대란’ 사태까지는 아니더라도 선별진료소와 감염병 전담병원 등 코로나19 상황과 밀접한 의료 현장에서의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0일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전북본부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진 총파업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조합원 5만 6091명 중 4만 5892명이 참여해 4만 1191명(89.9%)이 파업에 찬성했다.

쟁의조정 기한인 다음 달 1일까지 노정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일부터 실제 파업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와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오후 3시부터 노정 실무협의를 갖고 막바지 교섭을 진행했다.

양 측 모두 의료 현장의 인력부족 문제와 대책마련의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구체적인 시행시기 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파악됐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가 63.4%로 절반 이상이며, 간호조무사와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전북지역에서는 군산의료원, 남원의료원, 진안의료원, 적십자사혈액원, 정읍아산병원 등 5곳이 총파업 인원에 포함됐으며, 800여 명에 달한다.

총파업에 돌입하면 전북지역에서는 필수인력을 제외한 이들 모두 총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보건의료노조 전북본부는 밝혔다.

노조가 총파업 투쟁을 추진하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해 의료 현장의 고통이 커지고 장기화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방안이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 요구사항은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공공의료 확충 ▲공공병원의 시설·장비·인력 인프라 구축과 공익적 적자 해소 ▲직종별 적정인력기준 마련 및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법제화 ▲규칙적인 교대근무제 시행 및 교육 전담 간호사 지원제도 전면확대 등 8가지이다.

노조는 이번 파업에서 응급실과 중환자실 인력은 제외하겠다고 밝혔지만, 선별검사소와 감염병 전담병원 인력은 파업 대상임을 밝힌 만큼 방역 체계에도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노동조합법에서 병원 사업은 필수공익사업으로 분류해 파업하더라도 필수인력은 반드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는 인력을 뺄 수 없고, 다른 진료과에서도 일정 비율의 필수인력을 남겨두어야 한다.

보건의료노조 전북본부 전관영 조직국장은 “현재까지는 노조의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진 게 전혀 없다”면서 “우리도 총파업이라는 결정이 절대 쉽지 않았다. 아프지만 어쩔 수 없는 결정이다”고 말했다./하미수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