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와 은행권이 지속적으로 대출을 규제하고 있지만 가계 빚이 7월중에만 10조원 가까이 느는 등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11일 '2021년 7월중 금융시장 동향'을 통해 은행의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9조7천억 원 증가한 1040조 2천억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04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이전 최고치는 7월의 7조6천억 원이었다.

정부가 여섯 번에 걸쳐 수도권 아파트 고점을 경고하며 추격매수에 신중해야 한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음에도 수도권 아파트 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영끌’로 인한 주택담보대출은 전체 증가분의 과반을 훌쩍 넘는 6조1천억 원에 달했다. 지난 2015년 7월 6조4천억 원 증가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주택매매, 전세 폭등, 지속적인 집단대출이 증가폭을 키운 것이다. 기타대출 역시 일반의 적금담보대출이나 주식담보대출인 늘면서 지난해 7월 3조7천억 원 이후 가장 많은 3조6천억 원을 기록했고 기업대출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2009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11조3천억원에 달했다.

부동산 시장은 2030까지 나서서 아파트가 안 되니 빌라로 눈을 돌려 집을 사는 ‘영끌’ 대출이 여전하고 주식이나 가상화페 시장에선 ‘빚투’가 대세로 자리 잡은 지금이다. 집값하락세를 경고해 대출 수요를 줄이려 했지만 효과는 없었고 코로나펜데믹 장기화로 벼랑 끝에 몰린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들의 대출이 러시를 이루며 은행 빚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을 이미 기정사실화 했다. 빠르면 이달 중 금리인상이 단행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터넷 전문은행들을 중심으로 벌써부터 마이너스 통장 등의 금리가 오르면서 이용자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기도 하다.

자산거품이 꺼지고 시중 금리가 오르게 되면 그 다음은 경제위기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자영업자 중에는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가 130만 명을 육박하고 이들이 진 빚만 500조원이 넘는다고 한다. 6개월 이상 연체한 카르론 비율도 지난 2003년 카드대란 때와 비슷한 13%대로 조사됐다. 금융혼란이 시작되면 경제적 파장을 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까지 이어질 수 있음이다. 가계빚 연착륙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가계대출 이렇게 관리하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