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을 멈춰줄 것을 요청했다. 현재 선진국과 저소득 국가의 백신 접종률이 심각하게 차이 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 40억 회 분의 코로나19 백신이 풀렸는데, 그 중 80%가 넘는 분량이 중상위 소득 국가에 돌아갔다. 그럼에도 영국 정부는 만 16~17세에게까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미국 등에서 이미 12세 이상에게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아울러 변이 바이러스에 대비해 전 국민에게 추가 부스터샷을 고민하고 있다. 또한 미국 뉴욕시의 식당·헬스장·공연장에 가려면 이제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를 내야 한다. 독일·프랑스·이탈리아에는 이미 사람들이 실내 시설을 쓸 때 접종 증명서를 내야 하는 제도가 있다. 프랑스도 부스터샷 계획을 세웠다.

수급 불균형을 우려한 WHO의 요청은 타당하다. 선진국이 백신 접종을 많이 해도, 다른 나라에서 바이러스가 계속된다면 팬데믹은 끝나지 않는다. 저소득 국가에 백신을 시급히 공급해야 이번 팬데믹을 끝낼 수 있다. 그러나 각국의 이기심 때문에 잘사는 나라들의 부스터샷 계획은 막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7개 기업이 코로나 백신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들 기업이 지난해 초부터 개발에 나섰지만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화이자, 모더나 등 기업들의 300가지 이상 특허 장벽 때문이다. 우리 기업들 대부분은 다국적 기업들이 특허를 등록한 mRNA방식을 따라가느라 관련 특허를 회피하면서 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임상시험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임상 인원 확보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3만 명의 임상실험을 하려면 검사비와 참여비 등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한데, 이를 민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는 어렵다. 미국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20조 원 이상을 투입한 것을 감안해 우리 정부도 지원책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등과 협력도 강화해 글로벌 백신 허브 기반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 마침 정부가 반도체·배터리와 함께 백신을 3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로 선정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향후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등을 고려할 때 이번 기회에 확실히 백신 주권을 갖춰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