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바구니 물가 폭등세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에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이란 예상을 내놨지만 통계청이 지난 3일 밝힌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중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2.6%가 올랐다. 약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5월과 같은 수준으로 다시 물가가 오른 것으로 최근 4개월째 한국은행물가관리 목표범위인 2%를 넘어선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계지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달걀을 비롯한 마늘, 고춧가루 등의 농축산물은 1년 전 보다 편균 9.6%나 올랐고 경유나 휘발유 가격은 무려 20%가 상승했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의 삶이 극도로 피폐해진 상황에 장바구니 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서민가계가 직격탄을 맞았고 장보기가 두렵단 서민들 불만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는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나아질 것이란 기대라도 있으면 좋겠지만 서민물가와 직결된 제품들이 폭염과 태풍 등 기상 상황에 극히 민감할 뿐 아니라 코로나 펜데믹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은 각종 국제 원자재 가격 유동성까지 키우고 있다. 하반기 물가안정에 대한 정부기대가 희망사항이 될 수도 있단 점에서 우려가 더욱 커지는 대목이다. 

물가 오름세는 소비자에게도 고통이지만 구매 의욕이 떨어져 지갑이 닫히면 경제의 선순환은 기대할 수 없게 돼 결국 국가경제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경기 위축이 가시화될 경우 그 파장은 더욱 크다.
수입은 줄었는데 체감물가는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의 가속화는 서민경제에 심각한 위협이다.

당장 경기회복을 기대할 수도 없고 물가는 오르는데 금융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을 방치할 수도 없다면 정부는 결국 금리인상을 적극적으로 만지게 되고 이는 이미 위험수위에 다다른 가계대출의 불안까지 초래할 수 있다. 코로나 4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영업규제로 인한 손실을 은행대출 등을 통해 겨우 막아내고 있는 서민들의 고통만 다시 커질 수 있단 의미다.
예기치 못한 경제위기는 없다. 정부의 적극적이고 강력한 물가 안정대책이 시급하다. 물가를 잡지 못한 파장으로 서민경제가 위기를 맞게 된다면 이는 모두 정부의 책임이다. 좀 더 세심하고 선제적인 조치가 내려져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