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광역시·도간 기초경쟁력 지수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국가적인 현안이 되고 있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 마다 강조됐던 지역균형발전이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시·도간 부익부 빈익빈현상은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어서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 전국 17개 광역시·도 경제를 지역내총생산(GRDP), 일자리, 혁신 능력, 재정, 인구 5개 부문에 걸쳐 비교한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이보고서에 따르면 1990∼2019년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GRDP의 경우 경기, 충북, 충남, 제주 4곳은 전국 GRDP 대비 비중이 확대됐지만, 나머지 13개 광역시도의 비중은 하락했다. 특히 이 기간 전북의 전체 대비 비중은 3.2%에서 2.7%로 하락했다.

지역과학기술역량지수를 활용한 광역시도의 혁신 능력 비교에서도 전북은 전국평균을 밑돌았다. 최고점수를 받은 경기도를 100으로 했을 때 전북은 38.5로 전국평균 47.1%보다 낮았고  재정자립도 역시 2015년 ?23.0%포인트에서 2020년 ?20.3%포인트로 개선된 것으로 나왔지만 전국평균 45.2%에는 턱없이 못 미쳤다. 또 2010년과 2020년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 비교에서도 전북의 인구감소세는 지난 8월 180만 명대가 붕괴할 정도로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2006년 대비 2019년 주민등록인구 1000명당 종사자수 증가 규모에서만 유일하게 전북이 135.3명으로 전국평균 123.2명보다 많았지만 이 역시 전북 전체 인구가 매년 급감하면서 상대적으로 종사자 평균이 오른 것이란 분석일 수 있단 점에서 의미를 부여하긴 힘들다.

일자리 축소와 이로 인한 격차확대, 그리고 개선되지 않는 열악한 재정력에 더해 지역의 미래 과학기술 역량에서 까지 전북 점수는 전국평균 이하였다. 지역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경제지표에서 지역경제의 심각한 위기가 진단된 것이다.

현재의 여건과 정책으론 전북이 목표 하는 경제 활성화 달성이 요원한 만큼 획기적인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미래성장기반 확대를 위한 기존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함께 맞춤형전략수립을 위한 역량강화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인프라 확충, 일자리 늘리기, 정주여건 강화라는 선순환 고리형성을 위한 재정여건 강화와 중장기투자 활성화를 통해 정책실현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을 새겨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