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와 심각한 저 출산문제가 국가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1월1일 기준 전북의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의 21.3%인 37만5000여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2020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로 1년 전 20.3%보다 다시 1%포인트가 증가했다.

전북은 지난해 이미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속도 역시 빨라지고 있음이 확인된 것으로 특히 올 상반기엔 인구감소 마지노노선으로 여겨왔던 180만 명까지 붕괴된 상태다.

저 출산 고령화에 대한 대책마련 필요성이 이미 오래전 제기됐고 정부 역시 올 한해에만 약 80조 원을 투입해 "모든 세대의 삶의 질 보장"을 목표로 26여 개의 부처에서 총 356개 과제를 수행한다고 밝힌 상태다. 합계출산율이 1명도 되지 않고(0.84명), 출생자가 사망자보다 적은 '데드크로스'현상이 시작된데 따른 위기에 직면한데 따른 대책을 수행키 위해서다.

하지만 전북은 물론이고 전국 250개 시·군·구 전체의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어섰다. 한국전체가 고령화 사회가 된 것으로 그 비율은 최근 10년새 2배로 늘었다. 그리고 고령화속도는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가 65세 이상 인구층에 진입하는 향후 10년간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노령인구는 느는데 저 출산으로 인한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결국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며 한국사회 전반에 충격을 주게 된다. 실제 2015년 72.9%였던 생산가능 인구(15~64세)비중은 지난해 71.3%로 하락한 상태다. 노년부양비가 2000년 10.2에서 2020년 23.0으로 두 배 이상 높아지면서 이제는 경제인구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다. 

경제가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비수도권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난 빈 도시는 결국 ‘지역소멸가속화’의 직격탄을 맞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예고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지난달 21일 한국의 ‘빠른 고령화’를 우려하며 잠재성장률을 종전 2.5%에서 2.3%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급격한 고령화로 중기성장 압력에 직면해 있다며 이는 재정운용상 위험 요인이란 분석에서다. 경고를 새겨야 한다. 지금 대비하지 않으면 정말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