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현실이 되면서 그 파장이 중앙무대에서의 전북정치력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국회의원선거구 획정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그 기준을 넘거나 못 미치게 되면 분구나 인근지자체와의 통폐합을 통해 의원정수를 유지하는 만큼 인구감소로 유권자가 줄어는 전북의 입장에선 현행 10명의 지역 국회의석수를 지키기조차 힘에 겨워질 것이 뻔한 현실을 마주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3월말 현재 주민등록을 기준한 전북인구는 189만7450명으로 20년 만에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180만 명이 붕괴됐다. 2001년 까지만 해도 200만 명선을 유지해왔지만 매년 평균 1만 명이 전북을 떠난 것으로 지금도 전북인구는 매월 줄어들고 있다. 5월말 현재 전북인구는 179만4682명으로 두 달 사이에 다시 2768명이 감소했다. 이미 도내 14개 시·군중 11곳이 인구감소로 인해 소멸예상 지역으로 분류된 상태라 관내 지자체 모두가 절대적인 위기감 속에 인구문제를 고심하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란 말만을 실감할 만큼 나름의 대책이 통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때(15대.1996년)는 14명의 국회의원이 전북을 대표하며 지역의 존재감을 분명히 한 적도 있었지만 지난 21대 총선을 앞두고는 국회의원 정수가 9명으로 까지 줄어들 위기를 맞을 만큼 도세는 취약해 졌다.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이 취약한 지역의 경제력이란 점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위축된 도세를 회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의 소통을 키우고 역량을 발휘해야할 강력한 지역 정치력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이미 그 첫 단계에서부터 힘을 잃어가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이런 악순환은 더욱 고착화될 수밖에 없는 지금 상황이다.

강한 지역정치력의 회복 없인 전북 몫 찾기도 없다. 특히 갈수록 심해지는 지역 간 불균형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은 무엇보다도 앞서서 추진돼야할 현안이 아닐 수 없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부예산이 적재적소에 쓰이고 있는지 에서부터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정책이 오락가락하며 흐지부지 되지 않도록 지역발전 사업만큼은 무겁고 지속적으로 갈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하는 장기대책부터 인구감소가 2~3년 내 지역정치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미리 대비하는 당장의 정치적 과제 해결에도 역량과 지혜를 모아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