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을 비롯한 전남과 광주 등 호남권 3개시·도를 초광역권으로 에너지경제 연합으로 묶어 지역발전의 추진동력으로 삼기위한 첫 작업인 '호남 초광역 에너지경제 공동체(이하 호남 RE300) 프로젝트' 용역 결과 보고서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호남지역 국회의원 26명이 공감대를 형성, 3개 시·도당이 각 광역단체에 제안했고 민주당의 씽크탱크인 민주연구원까지 참여해 지난 2월 본격 용역에 착수한지 3개월여 만이다.

31일 공개된 보고서는 ‘호남 RE300’은 2034년 RE100 달성, 그리고 2050년 RE300 달성 등 총 2단계로 추진되는 것으로 나온다. ‘RE100’은 오는 2034년까지 호남 지역 내 탄소중립 실현과 초광역에너지망 구축, 그리고 2050년 ‘RE300’의 단계에서 이를 완성하는 것으로 이 사업들이 마무리되면 호남은 지역전력 사용량의 300%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생산하고 남는 전력은 해외수출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호남권 최초의 초대형 경제공동체 프로젝트란 점에서 관심이 모아졌고 K-뉴딜위원회와도 관련 계획이 공유되는 것으로 돼있어 그린뉴딜과 지역균형뉴딜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광역권에너지연합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는 크다. 추후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당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 역시 실현가능성을 높여준다.

민주당은 RE300이 탄소중립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프로젝트이자 고착화된 지역불균형 해소와 발전에 가장 현실적인 대책임을 강조하고 낙후지역인 호남 전역이 탄소중립사회로 가는 길을 여는 선도사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이미 밝힌 상태다. 또 이달 중 당 지도부와 3개시도지사가 참여한 가운데 용역 결과를 토대로 청와대에서 보고대회를 하겠다는 일정도 내놨다.

호남 RE100에 투자될 사업비만 203조원에 달한다는 점에서 벌써부터 회의적인 시각이 대두되고 있지만 호남의 신재생 에너지 메카로 가능성과 잠재력은 분명히 확인됐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가 수도권 중심을 벗어난 특색 있는 광역별 발전모델 구축이란 점에서도 ‘호남 RE300’은 부합한다. 탄소중립이 생존을 위한 필수과제 임을 인식하고 호남 RE300이 그 시작일수 있도록 지금부터 지혜를 모아야 하는 이유다. 조금이라도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깊게 고민해야 한다. 갈 길이 멀지만 길이 이것뿐이라면 가야하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