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들이 힘들고 고단한 삶을 가족관계 만족을 통해 겨우 지탱하고 극복해가고 있다는 사실이 정부통계를 통해 다시 확인됐다. 낮은 소득에 여가나 소비생활 위축이 일상이 되면서 삶의 질 개선은 남의 일이 되고 있다는 의미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24일 내놓은 ‘통계로 본 전북도민의 삶’에서 확인된 2019년 1인당 지역총소득은 전국 17개 시·도중 16번째인 2826만원이었고 1인당 개인소득은 1872만원에 불과했다. 전국 최하위권의 1인당 소득이다 보니 만족도 역시 낮을 수밖에 없어 소득이 있는 도민가운데 본인 수입에 만족하는 경우는 14.6%인데 반해 불만족이라고 답한 경우는 43.5%였다. 특히 낮은 소득은 소비생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19세 인구중 현재 소비생활에 대한 불만족 비율이 32.6%였다.

다만 2020년 전반적인 가족과의 관계에 있어 57.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왔고 이중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는 75.8%나 됐다. 비록 낮은 수입에 삶의 불만은 크지만 가족관계에서의 만큼은 원만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케 하고 있다. 수입은 넉넉지 않지만 가족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도민들의 성향이 그대로 드러난 단면인 것이다.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국정의 최우선 목표로 하고 소득주도성장을 강하게 밀어부쳤던 정부였다. 하지만 가계의 필수비용을 줄여서 가처분소득을 늘려준다는 소득주도성장에도 전북이 느끼는 현실은 소득은 제자리고 제대로 된 일자리구하는 일은 오히려 더더욱 어려워지는 현실의 반복으로 요약된다. 삶의 질을 체감하는 기준이 수입의 많고 적음으로 구분되는 것만은 아니라 해도 생활고에 시달리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일상이 된다면 결코 행복도는 높아질 수 없다. 여기에 국가의 빈자리를 채워줘야 할 지자체나 지역정치권의 역할부재까지 두드러진다. 소득을 높여줄 수는 없어도 지친 도민들의 삶에 편안함과 휴식과 안정은 지원할 수 있음에도 뚜렷한 족적이 없어서다.

최근 제주도 의회는 특별자치도 출범 후 도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준 조례 50건을 선정해 공유하기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 제주도민들을 위한 많은 조례 발언이 있었고 이젠 이를 널리 알릴 수 있다는 자신감이 부러울 뿐이다. 전북 지자체와 정치권에서도 과연 이런 사례들이 있었는지 돌아볼 일이다. 정부 탓만 해대지 말고 할 일은 했는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