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이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해결을 재확인함에 따라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남북 접촉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은다.

청와대는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기대한 것 이상”이라고 평가하고, 특히 한반도 문제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 관련 대화의 기틀을 마련하여 본격 협상이 기대되는 시점에 와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공동성명 등을 존중하며 외교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합의했다. 또 한국계 북한통으로 지난 싱가포르 북미회담의 사전 실무협상을 맡았던 성 김 주 인니 대사를 대북특별대표로 임명한 것도 미국이 북한에 실무적으로 대화 준비를 마쳤다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되며 북미 대화 기대감을 높인 상황이다.

이렇듯 ‘대화 여건’이 마련되면서 임기 후반 문재인 정부로서는 지체 없이 한미정상회담 후속 조치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24일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귀국 후 방역 관련 절차가 종료된 후 바로 업무에 복귀해 김부겸 국무총리와 주례회동을 비롯해 청와대 내부 회의를 갖고 “한미정상회담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지도록 후속조치 실행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방미 성과를 “경제협력, 백신, 한미동맹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 분야별로 나눠 각 부처가 국민들에게 소상하게 알리고 체감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라"고 당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관계수석 회의’를 개최해 한미 정상 간 합의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점검 및 추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기로 했다.

하노이 회담 불발 이후 교착 상태에 놓인 남북,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마련해 북한의 호응을 이끌어낼지가 관건이다.

대화 재개를 위한 남북 접촉방식도 관심을 모은다. 전례에 비춰볼 때 남북 접촉방식은 남북 채널을 통한 친서 교환부터 대북특사 파견, 판문점에서의 남북 고위급 친서교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 이후 아직까지 북한의 반응은 없다. 회담 결과에서 대북제재 완화 등 북한 유인책이 약하다는 지적도 나오는 만큼 남북, 북미 간 물밑 접촉으로 다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가동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