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제3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를 앞두고 지난1일 재정지원제한대학 18곳을 확정, 해당대학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적으로 일반대 9곳, 전문대 9곳이 대상에 올랐으며 권역별로 2~3개 대학이 포함됐다고 한다.

그동안 정부 진단평가에서 도내 대학 한 두 곳 이상이 어떤 식으로든 각종 제한조치를 받아왔던 터라 올 입시에서 신입생과 재학생 충원률을 채우지 못한 도내 대학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군산대를 비롯해 원광대, 우석대등 도내 주요 5개 대학이 신입생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든 상태라 불안감은 더욱 크다.

재정지원제한대학에 포함되면 정부의 각종 지원 사업 참여는 물론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도 제한을 받게 된다. 신입생 모집이 힘들 수밖에 없고 부실대학이란 오명에 재학생들의 이탈 가능성도 높아진다. 결국 퇴출 수순을 밟아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살아남기 위한 소명에 총력을 다 하겠지만 이번 위기를 넘긴다 해도 다음의 대학 평가에서는 올해보다 더욱 심각한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신입생미충원이 대학 역량부족 문제도 있지만 그보다는 매년 학령인구가 절대적으로 급감하는데 따른 필연적인 원인에 기인하기에 그렇다.

대학들이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할 것이란 말이 돌고 있는 상황에 올 입시에서도 남부지방 대부분 주요대학들이 신입생 충원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다. 속설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으로 올 입시에서 780명의 정원미달이 있었던 대구대에선 최근 김상호총장이 이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일까지 있었다.

지방대의 심각한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아닐 수 없다. 수도권 대학에 비해 모든 여건에서 불리한 지방대가 정부의 역량진단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받아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경쟁력 잃은 대학에 회생을 위한 특단의 지원이나 대책은 고사하고 제대로 된 퇴로조차 만들어 놓지 않고 ‘알아서 하라’는 식의 밀어붙이기로 일관하고 정책은 문제다. 없어져야 할 대학이라면 강력히 도태 시켜야 하는게 맞지만 지방대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공정했는가에 대한 문제도 돌아봐 한다. 지역 대학 퇴장이 지역사회에 미칠 파장이 상상이상임을 우리는 이미 경험했다. 과감하게 추진해야 할 부분이지만 많이 고민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