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업체들의 임금체불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 수도 지난해 1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임금을 못 받은 도내 노동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한 수준이다. 28일에는 원청업체인 대형건설사와 중형건설사로부터 공사 대금을 못 받아 고통을 겪던 조그만한 업체 사장과 노동자들이 도교육청에서 시위를 벌였다. 원청업체들은 자신들도 어렵다며 공사대금을 주지 않자 지난 추석을 마지막으로 끊긴 공사비 지급 받을 수 있도록 공사를 발주한 전북도교육청이 나서달라는 호소였다.
  고용노동부 전주지청에 따르면 도내 체불임금 규모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4년 206여억 원이던 것이 2015년 245여억 원, 2016년 221여억 원, 2017년 207여억 원, 2018년 443여억 원, 지난해에는 5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521여억 원에 달했다.
  노동자들의 임금 체불이 늘어난 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기업주들의 부도덕성을 꼽을 수 있다. 임금에 가족의 생계를 의존하는 직원들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배만 불리는 악덕 기업주 문제는 오래전부터 지적돼왔다. 정작 자신은 고가주택에 고급자동차를 소유하는 등 호화생활을 누리면서 직원들의 임금은 체불하는 사례가 줄지 않고 있다. 지난 2018년부터 최근까지 근로자의 임금과 퇴직금을 상습적으로 체불한 혐의로 도내 태양광 설치 및 분양사 대표가 구속된 사례가 있다. 이 대표는 임금체불 해소를 요구하는 직원들을 외면하는 것은 물론 일부 피해자들은 직원이 아니라며 4대 보험도 가입하지 않아 실업급여조차 받을 수 없는 처지로 만들었다. 더욱이 근로감독관의 조사에서 응하지 않고 도주하는 등 임금체불 해결을 위한 어쩐 노력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비난을 사고 있다.
  임금 체불을 하는 기업들은 경기 불황으로 어쩔 수 없다고 설명한다. 자신들도 노력하지만 사업 부진으로 인한 적자 때문에 임금을 제 때 주지 못한다고 호소한다. 물론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들이 어렵다는 데 동의 한다. 하지만 기업이 한정적 수익을 지출하는 데 임금의 순위가 어느 정도인지 묻고 싶다. 임금은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 가정경제는 우리 경제의 가장 기초다. 가정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 사회를 유지하는 데 가장 근본임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