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AI)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발생 때마다 예찰활동과 방역대책 말고는 뾰족한 방안이 없어 AI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단기 대책이 시급하다.

27일 전북도 및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7일 고창의 오리농가에서 시작된 AI사태가 발생 이후 채 열흘도 안 돼 고창, 부안에 이어 충남 서천, 부여와 경기 시화호, 전남 해남에서 AI감염이 확인되면서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2010년 12월 이후 약 3년만에 재발한 AI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것은 2003년 12월로 당시 102일간 10개 시·군에서 19건이 발생했다.

AI는 2006년 11월부터 104일간 5개 시·군에서 7건, 2008년 4월부터 42일간 19개 시·군에서 33건, 2010년 12월 29일부터 139일간 25개 시·군에서 53건이 각각 발생하며 AI가 고착화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밀식 사육 금지, 야생 철새의 대륙별 이동에 따른 감시 체제 구축 등AI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특히 AI 발생 때마다 원인을 두고 논란이 반복되는 동안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가 등장하고 그 피해도 커지고 있어 원인 규명 작업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내 학계 한 관계자는 “AI나 구제역이 발생하면 대량 살처분이라는 대응을 할 수밖에 없는 배경에는 공장식 축산이 자리하고 있다”며 “유전적 다양성 결여와 밀집 사육이 AI 발생과 확산에 대한 대응을 어렵게 하는 것 아닌지 깊은 정책적 고민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병의 신속한 파악과 선제 대응을 위해 질병관리 통제시스템을 선진화하고 기존 동절기 특별 방역체계를 연중 상시방역 체계로 전환하고, 농가자율방지시스템 점검 등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북지역에서는 2006년부터 23번째 AI가 발생했다. 2006년 익산, 김제에 이어 2006년 3건, 2008년 17건, 2010~2011년 2건 등 그 피해액이 총 11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