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태어난 ‘권삼득 홀’ 첫 무대 연다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이하 전북도립국악원)이 새롭게 태어난 ‘권삼득 홀’에서 첫 무대를 올린다.
국악의 정수인 판소리 다섯바탕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획공연이 도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전북도립국악원은 21일과 22일, 이틀간 ‘새로운 시작, 다섯 빛깔 성음(聲音)’이라는 주제의 무대를 연다.
공연은 1986년 개원 이래 처음으로 전면 중, 개축을 마치고, 새롭게 탄생한 ‘권삼득 홀’의 개관을 기념하는 첫 무대로 의미를 더한다. 공연은 판소리의 대표 다섯 바탕인 춘향가, 심청가, 적벽가, 흥보가, 수궁가를 모두 만나볼 수 있다.
21일 첫날 무대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모보경 명창의 춘향가 중 이별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송재영 명창의 심청가 중 심봉사 목욕 대목으로 꾸며진다.
전통의 기품과 사제동행의 의미를 함께 담으며 고수는 서울시 무형유산 고정훈 명고가 맡는다.
22일 오후 4시 30분, 둘째 날은 국가무형유산 윤진철 명창의 적벽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김세미 명창의 홍보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왕기석 명창의 수궁가가 이어진다. 조용안 명고(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의 북장단이 소리의 깊이를 더한다.
1985년 준공된 권삼득 홀이 39년 만에 새 옷을 갈아입었다. 전통의 미감과 현대적인 음향 설계가 결합한 이번 공간은 국악 무대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 개관 공연에서는 리모델링 과정을 담은 오프닝 영상과 국악원 관현악단의 축하 앙상블이 관객을 맞이할 계획이다.
총제작은 유영대 원장이 맡았으며, 총기획·연출은 김태경, 음악감독은 이용탁 관현악단 예술감독, 사회는 고승조 창극단원이 진행한다.
이번 공연은 전북·전주의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 희망 메시지도 함께 담겨 있다. 전북의 전통문화 자산을 예술적으로 조명하며, 국악의 미래 가능성을 세계 무대로 확장하려는 의지를 상징한다.
유영대 원장은 “권삼득 홀은 전북 국악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전통의 뿌리를 바탕으로 재탄생한 이번 무대가 도민 모두에게 자긍심과 감동을 선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공연은 도민 대상 무료 관람(선착순 100명)으로 진행되며, 전통 판소리의 매력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느낄 귀중한 기회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