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노인일자리 내년 9만 명 육박···3년 연속 증가세

2025-11-18     조은우 기자

전북지역 노인일자리가 3년 연속 증가하며 내년에는 참여 인원이 9만 명에 가까워질 전망이

다. 고령화율 26%를 넘긴 전북이 고령층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일자리 기반을 집중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3년(2023~2025년)간 도내 노인일자리 참여 인원은 총 23만 408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3년 6만 8901명, 2024년 7만 8473명, 올해 8만 6714명으로 해마다 증가세가 이어졌다.

내년 배정 인원은 보건복지부가 전북도에 확정치를 통보해 약 8만 9633명이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최근 3년 평균 18.2%였던 참여율은 내년 19.7%로 상승해 노인 5명 중 1명이 활동하게 될 전망이다.

이 같은 증가세의 배경에는 전북의 인구 구조 변화가 자리한다. 국가통계포털(KOSIS) 분석 결과, 전북의 고령화율은 지난달 기준 26.4%로 전국 평균(21%)을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높은 고령화율을 고령층 사회참여 확대의 필요성과 기회로 인식하고 일자리 기반 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도는 이러한 인식 아래 노인일자리를 단순한 소득보전 수단이 아니라 ‘일하는 고령사회’의 기반으로 보고, 사회적 고립 예방과 돌봄·안전 인프라 강화 등 다층적 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일자리 규모가 커지면서 재정 투입도 함께 늘고 있다. 전북은 광역도 가운데 유일하게 도비 20%를 부담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평균(15%)보다 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지원 비율을 토대로 내년 총사업비는 4242억 원, 순지방비는 2121억 원이다. 다만 이는 예산 편성 전 단계의 예정치로, 복지부가 인원만 확정해 분담 비율을 제시한 상황이며 도는 이에 맞춰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내년 일자리 구성도 이미 확정됐다. 복지부는 총 배정 인원과 함께 유형별 규모도 명시해 통보했으며, 공익활동형 6만 2991명, 역량활용형 2만 1063명, 공동체사업단 4014명, 취업지원형 1565명이 운영될 계획이다. 특히 역량활용형은 지난 2023년(8262명) 대비 2.5배 확대되며 ‘전북형 일자리 모델’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도는 내다봤다.

이와 함께 일자리의 안전성과 전문성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시·군에 ‘노인일자리 안전관리 대책’을 적용해 시니어안전모니터링단 684명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수행기관에 전담 안전관리 인력 50명을 배치해 현장 관리 체계를 더욱 촘촘히 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통합돌봄체계와 연계해 돌봄·안전·생활지원 등 필수서비스 분야에서 신규 일자리를 발굴할 방침이다. 도는 현재 운영 중인 마을환경정비, 돌봄지원, 공공시설 보조, 안전점검 등 생활 밀착형 일자리는 지역사회 기여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전북은 도·시군·수행기관이 함께 고령친화 일자리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전북이 고령친화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