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국가예산 ‘막판 스퍼트’···도·정치권 공조 관건

2025-11-17     조은우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청 전경.

전북특별자치도가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막판 스퍼트’에 나섰다. 예산조정소위의 감액 심사로 지역 현안 증액의 창구가 열린 가운데, 막판까지 도와 정치권의 공조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조정소위는 17일 중앙부처 주요 사업을 대상으로 감액 심사에 돌입했다. 여기서 확보되는 감액 재원은 지역 현안의 증액 재원으로 활용돼, 이번 주 심사가 사실상 예산 확보의 분수령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북도는 새만금과 미래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주요 증액 대상 사업을 정밀 조정하고 있다.

증액 최우선 현안으로는 ▲새만금 신항 항로 준설 ▲새만금 상수도 간선관로 건설 ▲새만금 헴프 산업클러스터 타당성 용역이 제시됐다.

또 ▲전북권역 통합재활병원 총사업비 반영 ▲피지컬 AI 플랫폼(1400억 목표) 등도 국회 단계에서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핵심사업으로 꼽고 있다.

이날 노홍석 행정부지사는 기획재정부 경제예산심의관실을 방문해 국토교통·산업중소벤처·농림해양·정보통신·R&D 담당 과장들과 연쇄 간담회를 진행했다.

그는 RE100 산단 구축, AI 기반 차세대 엑소좀 기술 개발, 새만금 국가정원 조성 등 전북 미래전략산업과 성장 기반 사업의 국가적 필요성을 설명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노 부지사는 “전북의 미래산업 육성과 새만금 개발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적 과제”라며 “정부와 국회를 지속 설득해 시기를 놓치지 않겠다”고 말했다.

도는 같은 날 국회 의원회관에서도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나 상임위별 쟁점사업을 공유하고 예결위·상임위 단계의 지원을 요청했다.

전북 출신 한병도 의원이 예결위원장을 맡고 있는 점이 사업 심사 과정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재 흐름은 나쁘지 않지만, 증액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도와 정치권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액은 정치권의 지원과 기재부의 동의가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예결소위 기간 국회에 상주하는 기재부 실무진 설득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증액의 성패는 기재부 동의에 달려 있다”며 “도와 정치권이 막바지까지 협력해 목표에 준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도는 19~20일 지사를 비롯해 행정부지사·경제부지사·예산부서 간부 등 지휘부 전원이 다시 국회와 기재부를 방문할 계획이며, 박희승 의원실과 협력해 도-시군 합동 상주반을 운영하며 상임위·예결위 심사에 실시간 대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