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어업인 4년간 116명 숨져···농촌형 지원체계 필요
전북에서 최근 4년간 100명 넘는 농어업인이 숨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농촌 지역에 맞는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광범위한 농촌 지역에도 불구하고 통계는 늦게 확정되고 전담 체계도 없어 위험 신호를 제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6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4년(2019~2022년)간 도내 농어업인 자살자는 총 116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9년 42명 ▲2020년 28명 ▲2021년 30명 ▲2022년 16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농어업인을 직접 대상으로 한 전담 사업이 없는 상황에서 나온 수치라는 점에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
통계 확보에도 시간이 걸린다. 보건복지부 ‘자살예방백서’를 기준으로 하는 현행 체계는 사망 원인 확인 절차가 길어 확정 통계가 1년 이상 뒤에야 나온다. 이 때문에 현장 상황을 즉시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은 “농어업인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보다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도의 올해 자살예방 예산은 29억 9000만 원이다. 도는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와 시·군 기초센터를 중심으로 4대 분야 21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실시간 통계 체계가 없어 경찰청의 중간 자료를 기반으로 모니터링을 이어가고 있지만, 농어업인을 대상으로 한 전담 사업은 아직 없다.
농촌 지역 거주자가 고위험군에 다수 포함돼 있어, 현재는 일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담·생명지킴이 교육·위기개입 등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도내의 농촌 비중과 고령화 속도를 고려하면 농어업인의 정신건강 위험 요인이 더욱 복합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농번기 과로, 경제적 부담, 농촌의 의료 접근성 문제 등이 겹치지만 농어업인만을 별도로 관리하는 체계가 없어 실제 위험도가 통계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도는 농촌 특성에 맞춘 보완책 마련에도 나설 계획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농한기 선별검사, QR 기반 자가검진 등 농촌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농협·한의원 등 지역기관과의 협력 체계도 구축해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지역 특성에 맞는 세부 대책을 마련해 위험 신호를 면밀히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전화 ☎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 1577-0199, 희망의 전화 ☎ 129, 생명의 전화 ☎ 1588-9191, 청소년 전화 ☎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