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피지컬AI, 전북 인프라 빨라진다-(하) 전북 학·산·정 결속 통해 온보딩 속도를 무기로

- 기업이 입지 결정하면 인재, 전력, 실증 빠르게 공급해야

2025-11-09     황성조 기자

 

전북이 ‘피지컬AI 산업 수도’를 향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핵심은 ‘온보딩(입주 준비) 속도’다. 기업이 전북 입지를 결정하면 6개월 안에 인재, 전력, 실증 환경을 동시에 가동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목표다. 이른바 ‘온보딩 180일 체제’가 전북의 경쟁력이다.

첫째는 '학(學)의 결속'이다. 전북대·한국폴리텍·특성화고를 하나의 ‘현장캠퍼스’로 통합해 산업 현장 중심의 Co-op(협력교육) 과정 운영이 예고된다. 커리큘럼은 6개월 스프린트 방식으로, 2개월은 이론, 3개월은 산업 현장 실습, 1개월은 프로젝트 검증으로 구성 가능하다. 학생들은 GPU, 로봇, 센서 등 핵심 장비 접근권을 확보하고, 기업은 문제 정의와 데이터 제공을 담당한다. 졸업장은 단순 학위가 아니라 실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가 된다. 이 체계는 기업 입주 전부터 맞춤형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 인재 파이프라인 역할을 한다.

둘째는 '산(産)의 속도'다. 기업 유형별로 표준 온보딩 패키지를 마련한다. 데이터센터형 기업에는 장기 PPA(전력구매계약), 전용 변전소, 냉각 인프라, SLA(무정전 보장)를, 제조·로보틱스 기업에는 실증 샌드박스, 시험평가 바우처, 공동장비 사용권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계약부터 설계·착공·가동까지 단계별 마일스톤을 주 단위로 관리해 ‘지연 제로(Zero Delay)’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과정은 단순한 행정 지원이 아니라, 기업별 공정 진행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관리체계다.

셋째는 '정(政)의 제도화'다. 전북도는 특별법과 조례를 통해 원스톱 인허가, 전용요금제, 세제·입지 인센티브를 정비하고 있다. 분산에너지 특례, 전기안전 및 자율주행 실증, 농기계 시험평가 등 복잡한 행정 절차를 한 번에 심의하는 ‘일괄허가 창구’도 마련된다. 핵심은 PMO(프로젝트관리조직)다. 전북도, 전주시, 새만금청, 대학, 한전 등이 참여하는 상설 PMO가 기업별 간트차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환경영향·전력용량·통신 인입 등 병목 요인을 즉시 해결토록 하는게 핵심이다.

지역 공급망도 동시에 움직인다. 설비 시운전, 유지보수, 산업안전, 통신·보안, 열배관 등 분야별 지역업체를 프레임 계약으로 사전에 묶어 초기 가동 리스크를 분산한다. 이는 입주 기업이 착공과 동시에 운영 파트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패스트 트랙 공급망’이다.

또한 인센티브 제시 방식도 변수다. 단순한 세제 혜택이 아니라 TCO(총소유비용) 분석표로 전북의 경쟁력을 수치화한다. 전력 단가, PUE(전력효율지수), 인허가 지연비용, 물류비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업 의사결정을 앞당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평판이다. 전북도는 앵커기업들의 가동 결과를 KPI(핵심성과지표)로 공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착공부터 운영까지 걸린 기간, PUE 효율, 불시정전 시간, 생산 불량률, 신규 고용 수치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 “전북에 입주하면 일정이 지켜진다”는 시장 신뢰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전북의 피지컬AI 산업 유치는 단순한 홍보가 아니라 속도 그 자체가 경쟁력이다. 인재 양성, 전력 공급, 실증 지원이 동시에 작동하는 ‘온보딩 시스템’을 완성한다면, 전북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빠른 AI 산업 입주지로 자리 잡게 된다./